메뉴

K-뷰티 수출판 키운다…전시와 체험 어우른 서울뷰티위크, 28일 개막

296개 뷰티기업, 250개 바이어 참여… 수출상담·투자유치·피칭대회 등 전방위 지원

 

K-Classic News 기자 | K-뷰티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유망 뷰티 기업의 글로벌 진출과 수출 확장을 본격 지원하는 플랫폼 ‘서울뷰티위크’를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한다.

 

한국 화장품은 K-팝, K-드라마와 함께 K-컬처의 핵심 품목으로 성장하며, 지난해 수출 102억 달러를 기록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약 14.8% 증가한 55억 달러를 수출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중국 중심의 수출 구조에서 미국, 유럽, 아세안 등 176개국으로 수출국 다변화가 이뤄지며, K-뷰티 산업은 새로운 도약기를 맞고 있다.

 

올해 행사는 국내외 바이어, 투자사, 뷰티 인플루언서 등이 대거 참여해 수출 상담과 투자유치, 시민 체험 프로그램까지 아우르는 산업 축제로 치러진다. 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수출・투자・유통 연계를 총망라한 ‘글로벌 뷰티 허브 도시’로서의 위상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뷰티 유망 기업 지원 집중…수출상담, 투자유치, 피칭대회 등 전방위 지원'

 

이번 서울뷰티위크에는 국내 뷰티・테크 분야 대・중소기업 296개사와 국내외 바이어 250여 명이 참여한다. 서울시는 글로벌 바이어와 국내 기업을 연결하는 전시, 상담,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 성과를 도출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올해는 글로벌 산업박람회로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비즈 프리뷰 ▴서울뷰티위크 온라인 기획전 ▴인플루언서 품평회 등의 비즈니스 지원 프로그램이 새롭게 도입되거나 대폭 확대돼 주목된다.

 

‘비즈 프리뷰’(신설) : 개막 첫날인 28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바이어·투자사·언론 등을 대상으로 전시기업을 집중 소개하는 ‘비즈 프리뷰’가 최초로 운영된다. 사전 신청자에게는 전시장 도슨트 투어도 제공되며, 참여기업의 제품 및 브랜드를 집중적으로 노출하고, 향후 상담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서울뷰티위크 온라인 기획전’(신설): NS홈쇼핑과 협업해 서울뷰티위크 참여기업의 제품을 온라인에서 판매한다. 현장 참가 기업의 유통망 확대를 도모하고, 소비자의 구매 편의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인플루언서 품평회’(신설): 레페리와 협력을 통해 지난 6월 서울뷰티위크 공식 홍보단으로 위촉된 인플루언서 홍보단이 행사 전 참여기업 제품을 직접 체험하는 브랜드 품평회를 개최하고, 이를 담은 콘텐츠를 제작·공개한다. 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행사에 대한 관심을 사전 확산시킨다는 목표다.

 

'K-뷰티 유망 기업에 대한 비즈니스 전방위 지원… 수출상담부터 투자·피칭까지'

 

지난해(200여 개사)보다 확대된 규모로 열리는 ‘뷰티 트레이드쇼’에는 수출기업 220여 개사와 바이어 133개사가 참여해, 중소 뷰티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을 지원한다. 올해 수출상담에는 중국의 리콴그룹(LIQUN GROUP), 폴란드의 소니아 유한회사(Sonia Sp. Zo.o) 등 44개국 133개사의 바이어가 참여해 K-뷰티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트레이드쇼에서는 3,933만 달러 규모의 수출상담과 903만 달러 규모의 수출계약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이 외에도 ▴아모레퍼시픽, 제로원부스터, 캡스톤파트너스 등 투자사(AC/VC)와의 1:1 매칭상담 ▴아마존코리아, 랜딩인터내셔널 등 글로벌 유통사와의 입점상담 ▴서울중기청과 협업한 동남아・인도 등 권역별 수출컨설팅 ▴브랜드 전략 수립을 위한 비즈니스 세미나 등이 다채롭게 진행된다.

 

28일부터 29일까지 이틀간 열리는 비즈니스 세미나는 ‘뷰티트렌드’와 ‘글로벌마케팅’ 2개 분야로 진행되며 국내외 전문가들이 뷰티 산업 트렌드와 해외시장 공략 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뷰티트렌드 세미나'에서는 ㈜슬록 김기현 대표가 ‘클린뷰티 시장 전망’, 레페리 이지은 이사가 ‘인플루언서와 콘텐츠가 만드는 트렌드’ 등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지는 '글로벌마케팅 세미나'에서는 아마존코리아 김효진 시니어 매니저의 ‘아마존 K-beauty 인사이트’, 세계지적재산권기구 하워드 리 외부자문위원의 ‘뷰티브랜드 상표의 국제적 보호방법’, 랜딩인터내셔널 정새라 대표의 ‘미국 리테일 시장에서 살아남기’ 발표가 예정돼 있다. 본 세미나는 참가기업뿐 아니라 일반 참관객에게도 개방돼, 최신 산업 트렌드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29일 오후 1시, 컨퍼런스홀에서는 창업 7년 이내 스타트업 및 청년 예비창업자가 제품과 기술을 소개하고, VC가 현장 심사를 통해 투자·협업 연계를 지원하는 ‘비즈니스 밋업 피칭대회’가 열린다. 본선에는 6: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9개 팀이 참가하며, 총 2천만 원의 상금과 서울특별시장상(우수상~대상)이 수여된다. 대회 이후 수상기업과 심사기업 간 후속 연계 프로그램인 사후 밋업도 9월 중 마련된다.

 

심사에는 업계 전문가와 벤처캐피털(VC) 관계자 등 9명이 참여해 현장에서 발표 내용을 평가한다.

 

'기업전시부터 메이크업쇼까지…K-뷰티 최신 트렌드 보고, 즐기는 시민 참여형 콘텐츠 ‘풍성’'

 

일반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기업 전시와 체험 콘텐츠도 한층 확대됐다. 전시는 DDP 아트홀 1·2관과 어울림 광장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개막일은 오후 1시~7시)까지 운영된다. 총 126개 기업이 참여해 최신 K-뷰티 트렌드와 뷰티테크를 한 자리에서 선보이며, 시민 체험형 부스를 통해 산업 흐름을 직접 체감할 수 있다.

 

아트홀 1관(Trend zone) : 한국콜마, 파워플레이어, ㈜히즈 등 119개사가 스킨케어, 바디·헤어케어, 뷰티테크, 라이프스타일 등 최신 K-뷰티 트렌드를 선보인다.

 

아트홀 2관(Innovation Zone) : 아모레퍼시픽재단, LG생활건강(임프린투), 클래시스, 릴러커버, 우당네트웍 등 5개사가 참여하며, ‘비즈니스 밋업 피칭대회’ 수상기업을 소개하는 ‘피칭대회 위너스존’도 함께 마련된다.

 

어울림광장(체험형 부스) : LG생활건강(프라엘), 닥터포헤어 등 3개사가 시민 대상 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LG생활건강은 프라엘의 신제품을 현장에서 시연하고, 닥터포헤어는 두피진단을 통한 맞춤 제품 추천 이벤트를 진행한다.

 

마지막 날인 30일 컨퍼런스홀에서는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시민이 직접 즐기고 소통할 수 있는 ‘K-뷰티 메이크업쇼’와 ‘K-뷰티 토크콘서트’가 열린다. 이번 프로그램은 전문 메이크업 시연과 대중적 토크콘텐츠를 결합해, 현장에서 K-뷰티의 매력을 생생하게 경험하도록 기획됐다.

 

1부 ‘K-뷰티 인디브랜드와 함께하는 메이크업쇼’에서는 뷰티플레이와 함께 신진 브랜드 제품을 활용한 실시간 메이크업 시연이 펼쳐진다. K-POP 아이돌 트렌드 메이크업과 실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뷰티 팁을 현장에서 직접 배울 수 있다.

 

2부 ‘메이크업 클래스’는 아모레퍼시픽재단과 협력해 기획되며, 헤라 메이크업 아티스트가 전하는 K-뷰티 트렌드를 메이크업 시연과 함께 소개한다.

 

3부 ‘건강하고 솔직한 나만의 K-뷰티 이야기’에서는 필라테스 강사 ‘이모란’이 자신의 뷰티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개성과 자기표현을 중시하는 나만의 뷰티와 함께 즉석 체형진단을 통해 건강한 아름다움을 주제로 소통한다.

 

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서울의 산업 브랜드 가치를 강화하고, K-뷰티에 대한 글로벌 인식을 높이는 한편, 유망 뷰티 중소기업의 성장과 시민 참여가 공존하는 글로벌 뷰티 허브 도시로의 도약을 기대하고 있다.

 

서울뷰티위크 참여는 무료로, ‘서울뷰티위크’ 누리집을 통한 사전 등록 또는 당일 현장 등록해야 행사장 입장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뷰티위크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서울뷰티위크는 단순한 전시 행사가 아니라, K-뷰티 산업이 세계로 뻗어나가는 교두보이자 기업과 시민이 함께 만드는 실질적인 비즈니스 플랫폼”이라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기업의 성장을 적극 지원하고, 시민과 함께 K-뷰티의 가치를 전 세계에 확산하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