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문화는 소수의 전문가가 이끄는 것이 아니라, 대중의 일상에 얼마나 깊이 뿌리내렸는가에 따라 진정한 힘을 발휘한다. 우리가 흔히 예술이라고 할 때 떠올리는 것은 대극장의 무대, 세계적인 스타 연주자, 혹은 화려한 오케스트라일지 모른다. 그러나 문화의 진짜 지표는 이러한 몇몇 정상급 예술인의 출현이 아니라, 국민 개개인이 얼마나 예술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향유하느냐에 있다. 실제로 독일에는 55,700개 합창단, 2백10만명의 합창동호인이 등록되어 있으며, 전국적으로 수백만 명이 직업과 무관하게 일주일에 두세 번씩 모여 바흐, 헨델, 베토벤 같은 대작곡가의 작품을 연습하고 공연한다. 이들은 비전문가이지만 음악에 대한 헌신과 수준은 전문가 못지않으며, 문화의 일상화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이다. 예술은 그들의 여가를 채우는 취미이자 자아실현의 방식이며, 무엇보다 공동체의 연대를 이끄는 힘이 된다. 또한 핀란드에서는 인구 550만 중 약 32만 명이 지역 음악학교와 문화센터에서 성악, 악기, 무용을 배우며 음악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정부는 이들에게 교육비의 80% 이상을 지원하며, '모든 국민이 아마추어 예술가'라는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한때 예술은 뜨거운 입김처럼 솟구쳤다. 영감은 그 순간의 정적 속에서 낚아채는 살아있는 불덩이였고, 예술가는 자신의 심장에서 즉시 치솟는 노래를 즉석에서 연주하고, 읊고, 노래했다. 하지만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음악 창작의 분업화는 이 ‘즉흥’이라는 고귀한 능력을 점차 주변부로 밀어냈다. 작곡가가 모든 것을 악보에 적고, 연주자는 그것을 ‘실행’하는 전문 기능인이 된 오늘날, 과연 우리는 ‘영감의 순간’과 얼마나 가까이 서 있는가? 오늘날 클래식 음악의 연주자들은 대개 작곡가의 지시를 충실히 따르며, 오차 없는 완벽함을 추구한다. 그러나 이 완벽함 속에는 때때로 결핍이 있다. 그것은 바로 즉흥성, 곧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직관의 비약이다. 모차르트는 즉흥에도 능했고, 리스트는 즉흥을 통해 관객과 직결된 소통을 만들어냈다. 정제되지 않은 날것의 감정, 연주자 자신도 예측할 수 없는 진행. 그것이야말로 영감의 실체가 아니었던가. “즉흥이란 곧 신의 속삭임을 듣는 것이다.” 프란츠 리스트 이는 단지 과거의 미덕이 아니라, 오늘날 더욱 필요한 창조적 언어다. AI가 악보를 만들고 연주까지 구현할 수 있는 시대에, 인간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대중은 결코 진리를 낳지 않는다. 오직 개인만이 그것을 품는다. — 쇠렌 키르케고르 ‘절에 가서 새우젓을 먹는’ 능력 ‘눈치(nunchi)’는 직역하면 ‘눈으로 재는 치수’입니다. 말없이도 표정과 분위기를 읽어 사람들의 마음속 거리까지 재보는 섬세한 감각이죠. 덕분에 우리는 갈등을 줄이고, 협업을 매끄럽게 이어 갈 수 있습니다. 고맥락 문화가 키운 사회적 레이더 조선 유교 전통, 산업화기의 ‘빨리빨리’, ‘정(情)’ 문화는 관계의 온도를 지키는 일을 개인의 의견보다 앞세웠습니다. 그래서 말보다 눈빛이 먼저 흐르고, 단 한마디 없이도 “다 알아들었지?”가 가능해졌죠. 눈치의 빛과 그늘 밝은 면 / 그늘 빠른 공감과 조율 결정이 미뤄지고 속도가 늦어짐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암묵지 새로운 아이디어가 싹트기도 전에 꺾임 조직 분위기 읽는 능력 “내가 누구지?”라는 자기 상실감 회의 자리에서 다섯 번쯤 “이 말을 해도 될까?” 머뭇거리다 아이디어가 공중으로 흩어지는 경험,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그 순간 창조적 ‘불온함’은 사라지고 모두가 안전한 평균값으로 모여듭니다. 오늘날의 ‘디지털 눈치’ 줌 화면에 켜진 마이크 표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우리가 손으로 하는 일이 얼마나 많을까요? 손은 창조의 첫 출발이자, 노동의 가장 원초적인 도구입니다. 때론 손으로 무언가를 부수거나 상처를 줄 수도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쓰다듬고 어루만지며 위로와 치유를 전할 수도 있습니다. 어머니의 손이 그렇듯 말이죠. 종교에서도 두 손을 모아 기도하며 정성을 다하는 행위를 통해, 손은 곧 신성한 매개로 기능합니다. 손은 단순한 도구일까요, 아니면 우리 마음의 언어일까요? 손은 단순히 움직이는 기관이 아닙니다. 심장이 보이지 않듯, 그 떨림과 감정이 손끝에 스며듭니다. 두려움이 밀려올 때 손은 떨리고, 분노나 슬픔이 차오를 때 손은 움켜잡히죠. 그래서 심장은 양심에, 손은 그 양심의 표현으로 비유됩니다. 양심을 잃은 이들이 저지른 악행을 두고 우리는 '더러운 손'이라 말하고, 그들이 죄를 숨기기 위해 "손을 씻었다"고 표현합니다. 당신의 손은 지금 어떤 감정을 담고 있나요? 이처럼 손은 인생의 만능 키, 스스로의 방향을 잡는 네비게이션과 같습니다. 여기, 우리는 그 손에 ‘Art’s’라는 이름표를 붙였습니다. 손과 예술의 만남,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적 제안입니다. 우리는 그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현대화와 상업화, 그 가속의 물결 앞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묻는다. ‘과연 무엇을 지켜야 하는가?’ 갯벌을 메워 농지를 만들고, 그 위에 고층 아파트를 세우는 것을 '진보'로 여겼던 시대가 있었다. 개발은 곧 효율이었고, 효율은 곧 삶의 질로 여겨졌다. 그러나 오늘날, 갯벌은 생태의 보고를 넘어, 세계적 관광자원이자 지역의 정체성으로 거듭나고 있다. 원형을 보존한 자연이 오히려 더 큰 미래의 부가가치를 낳는다는 인식 전환이 시작된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문화의 영역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은 단순히 ‘옛것’이 아니라, 우리만의 방식, 고유한 이야기, 존재의 출발점이다. 마치 가파른 언덕 위에서 공동체를 향해 돌진해오는 적을 막아서는 아파치 추장처럼, 우리는 지금 문화의 원형을 지켜야 할 최전선에 서 있다. “원형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의 뿌리다.” 최근 토니상 6개 부문을 휩쓴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은 한국 창작 콘텐츠가 세계의 심장을 울릴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이 작품은 이야기의 본질을 간결하게 간직한 채, 세련된 무대화로 승화되었다. 즉, 원형의 뿌리를 지키되, 현대적 언어로 재탄생시킨 사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세상의 한 방은 경계 밖에서 나온다.’ 이 문장 하나로도 충분하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소외를 두려워한다. 누구나 주류, 기득권에 편입돼 안정을 누리고 싶어 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 말했을 때 그는 이미, 소속과 유대가 주는 혜택까지도 겨냥하고 있었다. 중심에 서면 권력, 자원, 명예가 뒤따르고, 경계 밖으로 밀려나면 결핍과 불안이 덮쳐 온다. 그러나 ‘경계 밖에는 경계가 없다.’ 이 어록은 소외의 빈 공간을 무한한 가능성의 영역으로 전환한다. 경계 밖의 자유, 창작자의 영토 경계 밖 1번지 사람들은 노숙자들 사회적 약자가 있지만 대체로 작가, 예술가다. 그들은 고립과 침묵 속에서 타인의 시선을 ‘음소거’(mute)한 뒤, 세계를 새 언어로 재편한다. ‘기억 파노라마’를 뚫고 나오는 그 순간, 기존 질서가 떠받친 안전지대는 와르르 무너지고, 대신 혁신의 지층이 드러난다. 톨스토이가 『전쟁과 평화』로 귀족 사회의 허위를 부쉈듯, 미겔 데 세르반테스는 『돈 키호테』 한 권으로 라 만차 평원의 ‘미친 기사’를 보편적 인간 희극으로 승화시켰다. 덴마크의 철학자 쇠렌 키에르케고르 역시 코펜하겐 한복판
K-Classic News 탁계석 | 예술비평가회장 세계 곳곳의 음악 축제들 가운데는 대도시나 거대한 공연장이 아닌, 외딴 산간이나 벽촌에서 시작된 것들이 의외로 많다. 그리고 그중 몇몇은 이미 세계적인 명성과 품격을 갖춘 음악제로 성장해 왔다. 그 상징적인 사례가 바로 핀란드의 '쿠오모 페스티벌(Kuhmo Chamber Music Festival)이다. 쿠오모는 핀란드 북부의 깊은 숲 속에 위치한 소도시다. 이곳에서 망명 중인 바이올리니스트 부부가 스스로를 위해 연주를 시작한 것이 계기였다. 처음엔 아무도 듣지 않던 음악이었지만, 근처의 벌목공과 지역 주민 몇 명이 하나둘 귀를 기울이기 시작했고, 결국 그 ‘숲속의 연주’는 해마다 수많은 관객과 세계적 음악가들이 찾는 축제로 자리잡았다. 이처럼 음악은 처음부터 거대한 것이 아니라, 들어주는 단 한 사람의 마음으로부터 시작된다. 또 하나의 흥미로운 사례는 이탈리아 북부 고산지대 아시아고(Asiago) 페스티벌이다. 유목과 치즈 산업으로 알려진 이 지역에서, 마을 성당에서 시작한 작은 콘서트가 마을의 자부심으로 성장했고, 유럽 전역의 음악가들이 가족과 함께 휴양 겸 참여하면서 유명세를 얻게 되었다. 이 축제는
K-Classic News GS Tak | Discovering Curator-Type Composers and Librettists We aim to foster creative talents who understand the European stage and can communicate using its artistic code. These individuals should not merely create works but function as curators capable of collaborating with European theaters. Targeted Festival Participation and Co-Production Proposals Examples include the Miskolc Opera Festival in Hungary, small theaters in Rotterdam, Netherlands, and the Stuttgart Contemporary Music Theater Week in Germany. These platforms annually accept international opera submissions and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