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장혜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한국 피아노학회 이사장)과 3회에 걸친 8시간의 대장정 영상채록을 마치고 실로 인간의 욕망은 다양하다. 나이와 시대, 처한 환경에 따라 꿈과 욕망이 바뀌지만, 한 가지만큼은 누구나 공유한다. “영원히 잊히지 않고 싶다”는 열망이다. 고대인들은 하늘에 닿으려 바벨탑을 쌓았고, 파라오는 거대한 피라미드를 세웠다. 이집트 사막에 솟은 스핑크스, 근대 도시 여기저기서 솟구친 기념탑, 선조의 묘 자리를 잡기 위해 풍수지리를 따졌던 조상들의 고심…. 모두가 “기억”을 현실에 새기려는 몸부림이었다. 종이의 시대가 가고, 영상이 ‘사라지지 않는 기억’으로 자리 잡으면서 그 욕망은 새로운 형식을 얻었다. HD와 4K를 넘어 8K까지 등장한 지금, 사람들은 납골당보다 ‘영상기록관’을 꿈꾼다. 살아 있을 때의 목소리·눈빛·숨결을 가족이 언제든 다시 만날 수 있다면, 생의 의미가 한 겹 더 두터워지지 않을까. 대한민국예술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은 일찍이 대가(大家) 예술인의 삶과 예술세계를 영상으로 채록해 영구 보존하는 사업을 진행해 왔다. 그런데 이 거대한 물결은 이제 ‘동호인 예술 시대’로 확장되고 있다.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풍부한 음색과 독보적인 연주로 각광받는 트럼페터 김대욱이 오는 7월 13일,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 독주회를 연다. 관악음악의 보편화를 위해 활발히 이어져 온 그의 트럼펫 음악 시리즈는 2021년도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매년 다양한 래퍼토리를 선보이며 꾸준한 연주활동을 통해 관객들에게 트럼펫이라는 악기의 전문성과 음악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활발한 해외활동으로 다져진 탄탄한 실력 유학 시절 American Protégé 국제콩쿠르 관악 부문에서 1위를 수상하고 뉴욕 카네기홀에서 입상자 솔로 데뷔 연주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관객들의 큰 찬사와 호평을 받은 트럼페터 김대욱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하여 University of North Texas에서 석사(MM)를 졸업한 후 학위 논문으로 「The Integration of Western Techniques with East Asian Philosophies in Isang Yun’s Quartett für Horn, Trompete, Posaune und Klavier」를 발표하며 박사학위(DMA)를 취득하였다. 이후 예술의전당 IBK기업
K-Classic News 탁계석 예술비평가 회장| 국립오페라단 제공 낙하산 인사 시대를 벗어나 전문성 발탁을 정권이 바뀌어도 강은 멈추지 않는다. 정치가 계절처럼 순환한다면, 문화는 그보다 훨씬 깊고 길게 흐르는 강물이어야 한다. 강줄기가 끊기거나 굴절되면 생태계가 무너지고, 퇴적된 가치와 경험은 소실된다. 문화예술이야말로 정권의 입맛에 따라 좌우되어서는 안 되는 자율적 공공재다. 그러나 현실은 자주 그 반대의 흐름을 보인다. 한국의 공공문화기관, 국공립 예술단체는 수장이 바뀔 때마다 ‘정권 코드’ 논란과 ‘낙하산 인사’로 흔들려 왔다. 이로 인해 조직은 매번 새 출발을 강요받고, 장기 과제는 무산되거나 표류한다. 정작 창의성과 지속성이 생명인 예술 영역이 가장 짧은 호흡의 정책 운용에 노출된 셈이다. 기계나 설비가 자주 교체된다면 그것은 ‘고장’이거나 ‘불안정한 상태’라는 뜻이다. 인사도 마찬가지다. 한 조직이 자주 리더를 바꾼다는 것은 곧 내적 안정성이 결여되었음을 반증한다. 특히 예술의 리더십은 단기성과보다는 긴 호흡의 신뢰가 중요하다. 문화 예술이 정권의 도구가 아닌 사회적 자산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인사에 있어서도 전문성과 지속성이 최우선되어야 한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예술에서 ‘새로움’은 쉽지 않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삶의 많은 영역에서 새로운 것을 선호한다. 성능이 향상된 신제품, 더 아름답게 디자인된 물건에 매력을 느낀다. 하지만 예술의 영역은 다르다. 새로운 예술작품, 특히 신작 가곡은 대중의 귀에 익숙하지 않다는 이유로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시간이 필요하며, 꾸준한 홍보와 반복적 노출, 공감대 형성이 동반되어야 한다. 신작 가곡이 ‘히트곡’이 되기 어려운 현실 작곡가는 새로운 가곡을 창작하지만, 그것이 대중 속에서 살아 숨 쉬기 위해선 누군가가 그것을 부르고, 관객과 호흡하며, 감동을 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활동 중인 전문 성악가들은 기량은 뛰어나지만, 신작 가곡을 공연이나 음반에 포함시켜 대중과의 접점을 만드는 데에는 소극적이다. 이는 경제적 리스크, 무관심한 매스컴, 공연 기획 부족 등의 복합적인 문제에서 기인한다. 그렇다고 옛 가곡만 부르고 있다면 가곡 발전은 정체되고 말지 않겠는가. ‘동호인 성악가’가 대안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예술가가 아닌 ‘애호가’이자 ‘열정 있는 동호인 성악가’들이 신작 가곡 활성화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음악에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염(廉), 치(恥) 달항아리는 신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온 도자기 공예 중 우리 민족의 정서를 가장 잘 나타내는 조형물이다. 조선시대의 유교주의와 도교사상에 입각한 시대사상의 산물인 것이다. 사유(四維)는 나라를 존재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기본 덕목인 예(禮), 의(義), 염(廉), 치(恥)를 말하며, 이 중 하나라도 없으면 나라가 위태로워지고, 모두 없으면 파멸에 이른다고 했다. 팔덕(八德)은 사유(四維)에 효(孝), 제(悌), 충(忠), 신(信)의 네 가지 덕목을 더한 것으로, 인간다운 인간이 되기 위해 지켜야 할 인간관계의 기본 덕목이다. 도교사상은 조선시대에 유교사상 외에 계층을 막론하고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었던 사상이다. 이처럼 이같은 유교의 윤리와 도덕을 차입하고, 불교의 인과응보사상 (因果應報思想)을 도입하여 녹인 것이 달항아리다. 때문에 석경 황규완 선생은 "달항아리는 그저 아름다운 기물이 아니다. 진리를 전하는 그릇이다." 라고 말한다, 단순한 도자기 하나에 담긴 시대정신, 예술혼, 한국미의 핵심을 담은 것이라고 한다, 그래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베스트 성악가 선정으로 동호인 문화의 격을 높일 것 오늘날 예술은 더 이상 특별한 사람들만 향유하는 전유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예술은 삶 속에 스며들어야 하고, 생활 속에 녹아들어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예술의 본래적 사명이자 진정한 확장이다. 오랫동안 예술은 ‘예술지상주의’와 ‘엘리트주의’의 틀 속에서 고립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 벽을 넘고, 대중의 일상과 접속하며, 시장의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내야 한다. K-클래식은 바로 이 패러다임의 전환을 제안한다. 모든 것의 기술은 빠르게 발전했고, 그 기술은 생활 속으로 파고들며 보편화를 이루었다. 인공지능, 디지털 미디어, 실감 콘텐츠 등은 이미 일상 언어가 되었다. 그런데 예술은 어떠한가? 아직도 우리는 서양 예술의 재연에만 몰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유학을 통해 수입된 기술, 콩쿠르에서 검증된 역량은 이미 충분히 축적되어 있다. 이제 그 기술로 ‘우리 입맛에 맞는 우리 요리’를 만들어야 할 때다. 우리 역사와 전통, 그리고 오늘의 삶과 공감하는 콘텐츠가 절실하다. 우리 말로 된 K오페라 할 수 있도록 선도할 것 K-클래식은 이를 실현하는 새로운 전략적 개념에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베스트 성악가 선정으로 동호인 문화의 격을 높일 것 오늘날 예술은 더 이상 특별한 사람들만 향유하는 전유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예술은 삶 속에 스며들어야 하고, 생활 속에 녹아들어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예술의 본래적 사명이자 진정한 확장이다. 오랫동안 예술은 ‘예술지상주의’와 ‘엘리트주의’의 틀 속에서 고립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 벽을 넘고, 대중의 일상과 접속하며, 시장의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내야 한다. K-클래식은 바로 이 패러다임의 전환을 제안한다. 모든 것의 기술은 빠르게 발전했고, 그 기술은 생활 속으로 파고들며 보편화를 이루었다. 인공지능, 디지털 미디어, 실감 콘텐츠 등은 이미 일상 언어가 되었다. 그런데 예술은 어떠한가? 아직도 우리는 서양 예술의 재연에만 몰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유학을 통해 수입된 기술, 콩쿠르에서 검증된 역량은 이미 충분히 축적되어 있다. 이제 그 기술로 ‘우리 입맛에 맞는 우리 요리’를 만들어야 할 때다. 우리 역사와 전통, 그리고 오늘의 삶과 공감하는 콘텐츠가 절실하다. 우리 말로 된 K오페라 할 수 있도록 선도할 것 K-클래식은 이를 실현하는 새로운 전략적 개념에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베스트 성악가 선정으로 동호인 문화의 격을 높일 것 오늘날 예술은 더 이상 특별한 사람들만 향유하는 전유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예술은 삶 속에 스며들어야 하고, 생활 속에 녹아들어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예술의 본래적 사명이자 진정한 확장이다. 오랫동안 예술은 ‘예술지상주의’와 ‘엘리트주의’의 틀 속에서 고립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 벽을 넘고, 대중의 일상과 접속하며, 시장의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내야 한다. K-클래식은 바로 이 패러다임의 전환을 제안한다. 모든 것의 기술은 빠르게 발전했고, 그 기술은 생활 속으로 파고들며 보편화를 이루었다. 인공지능, 디지털 미디어, 실감 콘텐츠 등은 이미 일상 언어가 되었다. 그런데 예술은 어떠한가? 아직도 우리는 서양 예술의 재연에만 몰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유학을 통해 수입된 기술, 콩쿠르에서 검증된 역량은 이미 충분히 축적되어 있다. 이제 그 기술로 ‘우리 입맛에 맞는 우리 요리’를 만들어야 할 때다. 우리 역사와 전통, 그리고 오늘의 삶과 공감하는 콘텐츠가 절실하다. 우리 말로 된 K오페라 할 수 있도록 선도할 것 K-클래식은 이를 실현하는 새로운 전략적 개념에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Photo: 굿스테이지 (송인호) - 일시 : 2025.6.20(금) 17:00 - 장소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213 엘타워 2층 안단테홀 - 식사 : 중식 코스 <본 포럼 위원이신 KCC정보통신, KCC오토그룹 이상현 회장님이 식사 제공> 1. 포럼의 비전과 재정적 성장 6223 미래포럼은 출범 2년 만에 5천만 원 이상의 연간 확정 예산을 운영하는 등 외형적 성장을 이루었다. 한 민간 이사장은 연간 2천만 원 후원을 약속하는 등 개인 차원의 기부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이러한 자생적 재정 운영이 지속 가능한 포럼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포럼은 지역 소멸, 청년 실업, 인구 구조 변화 등 한국 사회의 핵심 문제를 문화적으로 접근하며, 향후 세종대왕기념사업 등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2. 울산의 발전 조건과 포럼의 정체성 포럼은 울산 중심의 미래 전략을 추구하며,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했다: 울산은 수심 깊은 항만, 산업 인프라, 지질 조건 등 공업도시로서의 천혜 조건을 갖추고 있다.정치적 요인이 아닌, 자연 조건과 산업적 논리로 1962년 공업지구로 지정되었음이 강조됐다.울산은 북극항의 거점 항구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종이 매체의 일몰과 모바일 초가속화 지난 10년 동안 국내외 주요 신문·잡지는 “폐간 러시”라는 표현이 무색하지 않을 만큼 잇따라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스마트폰 보급률 95 %에 달한 2025년의 한국은 하루 평균 모바일 뉴스 소비 시간이 2시간을 넘어섰고, 종이 잡지 정기구독률은 3 % 미만으로 추락했다. 인쇄· 물류· 재고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진 전통 매체는 디지털 전환을 선언하거나, 아예 사업을 접는 길을 택했다. 이런 ‘쇄판(刷版)의 종말’은 모바일-온리(Mobile-Only) 세대를 낳으며 언론 환경의 구조적 지각 변동을 가속화했다. AI가 뒤흔드는 지식 생태계 챗봇·음성비서·생성형 AI가 뉴스 요약·취재 지원·콘텐츠 제작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면서 ‘속도’와 ‘맞춤형 지식’이 언론의 핵심 가치로 부상했다. 광고 기반의 클릭 장사가 흔들리고, 콘텐츠 무한복제 시대에 신뢰· 품질· 가치가 차세대 경쟁력으로 재정의된다. 이미 이용자는 키오스크· 모바일 앱 없이는 커피 주문, 식사 결제, 여행 티켓 발권조차 어려운 일상을 살고 있다. '디지털 도구 사용 능력 = 생존 능력' 이라는 등식이 성립하면서, 정보 격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