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페라 칼레아 3부작, 그 첫번째 이야기 세계초연 이후 국제 음악상 수상으로 주목받아

한국 창작 오페라가 세계 무대에서 새롭게 확장해가는 전환점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해수면 상승이라는 현재의 기후위기를 오페라에 담으며, 세계초연 이후 UNESCO, UN OCEAN DECADE(유엔해양10년계획) 예술가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전 세계 12개국에 오페라 음악을 발표했다

 

포브스 코리아 프리미엄 브랜드 공연예술 분야 선정에 이어, AOA인터네셔널어워드는 작곡가 이지은을 작곡상 수상자로 호명했다. 한국 오페라 앨범 최초로 미국그래미어워드 오피셜 발롯에 등재되었으며 작가와 작곡가는 유럽과 미국의 저작권 보호 협회인 The Ivors Academy, ISSA에 정회원으로 가입되었다.

 

창작 오페라 칼레아 부탈소로 (기획 홍성욱, 윤선영, 박승일 제작 아트팜엘케이)가 국제 음악계에서 이룬 성과를 기념해 오는 11월 26일 한전아트센터(KEPCO Art Center)에서 전막 콘서트 오페라 형식으로 다시 무대에 오른다. 이 작품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 창작산실 ‘올해의신작’에 선정되며 국가 공공 시스템 안에서 우수성을 먼저 인정받았고, 2025년 2월 한전아트센터에서 열린 세계초연 4회 공연을 통해 약 2,600명의 관객을 모으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입증했다.


이번 기념 공연이 다시 한전아트센터에서 열리는 점 역시 큰 의미를 갖는다. 한전아트센터는〈KALEA – BUTALSORO〉가 첫 무대를 올린 ‘세계초연극장’으로, 작품의 탄생과 성장이 시작된 출발점이다. 초연에서의 성과 이후 국제 무대에서 다관왕을 기록하고 UN 국제 프로그램에 선정된 지금, 동일한 무대로 다시 귀환한다는 점은 작품의 여정을 상징적으로 완성시키는 특별한 순간이 된다. 한국전력공사는 자사의 예술 공간에서 탄생한 오페라 작품을 기념하여 이번 공연을 후원한다.

 

오페라 칼레아 부탈소로는 작곡가 이지은과 대본 작가 김재청의 10년 넘게 지속된 협업으로 완성된 오페라로, 해수면 상승으로 육지가 사라진 2187년 미래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 수상 도시 ‘부탈소로’에 정착한 이민자들의 생존과 사랑을 신화적 요소와 결합해 그려내며 동아시아 해양 신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세계관을 구축했다. 한국 전통 판소리와 서양 오페라의 음악 언어를 결합하고, 스페인어 60%와 한국어 40%가 공존하는 이중언어 오페라라는 점에서 한국 창작 오페라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스페인어가 사용되는 오페라의 특성으로 히스패닉 문화권의 여러 오페라 극장과 공연을 협의 중이다.

 

2025년, 오페라 칼레아 부탈소로에 담긴 해양 관찰과 보호, 해수면 상승이라는 예술적 문제 제기를 계기로 전 세계 클래식 음악계에서 유일하게, 그리고 대한민국 최초로 UNESCO·UN Ocean Decade 공식 예술가(Official Artist)로 선정되며 한국 창작 오페라의 국제적 위상을 크게 확장했다. UN Ocean Decade의 공식 프로젝트로로 미국 Moku Art Studio, 아르헨티나 MANGO Residencia para Artistas와의 국제 협업이 진행됐고, UN Ocean Decade 공식 액티비티 OCEANs Concert는 12개국에 동시 송출되며 예술 기반 기후 행동의 대표 사례가 되었다.

 

아트팜엘케이의 예술가들은 국제해양생물학회인 Deep-Sea Biology Society 종신 예술 회원으로 가입되었고, 국제 해양 관측 및 보호를 위한 미디어 기구인 KOGIA의 라이브러리 멤버로서 국제 협업을 지속하고 있다. 계속되는 국제적 음악 발표로 2명의 창작자는 영국 The Ivors Academy와 ISSA(International Singer-Songwriters Association)의 정회원으로서 국제 예술·과학 공동 연구와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기후 위기와 해양 생태를 다루는 예술 프로젝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넓히고, 국제적 공공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되고 있다.

 

초연 이후 작품은 국내외 주요 시상식에서 다관왕을 기록하며 작품성과 음악적 혁신성을 입증했다. 2025 포브스코리아 클래식 공연예술 부문 프리미엄 브랜드상, World Classical Music Awards 오페라 플래티넘상 및 오페라 비디오상, Carl Reinecke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오페라 그랑프리, Saint-Saëns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최고 지휘자상 및 오케스트라 플래티넘상, 유러피언뮤직어워드 오페라 지휘자상, 2025 AOA International Award 작곡상, 2025 KCBI 대한민국 소비자 브랜드 위원회 클래식 공연예술 분야 K-브랜드 대상, 등을 수상했으며, 2026 미국 GRAMMY Awards Best Opera Recording 부문 공식 발롯(considered)에 오르며 국제 경쟁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오는 11월 26일 개최되는 기념 공연은 콘서트 오페라 형태로 진행되며, 초연 당시의 해석과 음악적 성과를 기반으로 작품의 핵심적 메시지를 가장 선명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지휘는 초연을 이끌었던 정금련이 다시 맡으며, 김순희(카네), 김지민(카날로아), 김지훈(백유진), 홍채린(아나비스), 류성현(차나팔리), 김병희(파로터스), 박솔(세멘타라), 길목영(라란투카), 그리고 김세진·김세훈·엄태준·김다우(매그너스 쿠)가 출연한다. 메트오페라합창단과 미네르바심포니오케스트라가 참여해 국제음악상을 수상한 세계초연 실연자들이 다시 한자리에 모인다.

 

오페라 칼레아 부탈소로는 아트팜엘케이이의 3부작 오페라 프로젝트 ‘OPERA KALEA Trilogy’의 첫 작품으로, 현재 후속편이 한참 준비 중이다. 이번 콘서트 오페라는 향후 이어질 시리즈의 세계관과 음악적 방향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무대는 단순한 재연이 아니라 초연 이후 축적된 호흡과 해석, 음향적 균형이 새롭게 정돈되는 과정이 될 예정이다. 한국 창작 오페라가 국제 시상식에서 다관왕을 차지하고, UNESCO 공인을 기반으로 국제 예술·과학 협업을 이어가는 가운데, 이를 기념하는 공식 공연이 다시 국내에서 개최되는 사례는 매우 드물다. 이번 공연은 한국 창작 오페라가 세계 무대에서 새롭게 확장해가는 전환점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무대가 될 전망이다.
(놀티켓, R석 6만원 S석 5만원 A석 3만원 B석 2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