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탁계석 칼럼] K 향토 보물 발굴 콘텐츠 작품화에 나선다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향토 지식’에서 ‘향토 보물’로

 

‘향토 지식’이라는 말은 다소 학술적이고 딱딱한 뉘앙스를 준다. 반면 ‘향토 보물’이라는 용어는 따뜻하고 정감이 있으며,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다. 또한 ‘보물’이라는 단어가 지닌 긍정적 울림은 사람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앞으로는 ‘향토 지식 문화 산업’이라는 용어 대신, ‘향토 보물 문화 콘텐츠 산업’이라는 네이밍이 적절하지 않을까 한다. 시대의 키워드인 ‘콘텐츠’를 붙여확산력을 키우고, 참여를 이끌어내려는 의도다.

 

향토 보물의 재해석과 세계화

 

여기서 향토 보물은 단순히 전통을 지키는 차원이 아니다. 발굴된 보물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가공하여 세계적인 상품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발효 음식, 민요, 전설, 풍습, 지역 예술 모두를 콘텐츠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찾아야 한다. 중요한 것은 원형의 가치를 존중하면서도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표현과 형식을 갖추는 일이다. 그래야만 한국만의 독창성과 세계적 보편성이 동시에 구현된다.

 

바르토크와 코다이, 그리고 한국의 과제

 

헝가리의 바르토크와 코다이는 민속 음악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예술로 승화시켜 세계 음악사에 깊은 족적을 남겼다. 이제 한국에서도 이러한 작곡가가 나와야 한다. 분명히 서양 음악사의 기술을 배우는 시대는 지났다. 때문에 세계 음악사의 연표와 형식을 따르되, 그 내용을 우리 민족의 향토 보물로 채워 넣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야 한국 음악이 세계 음악사의 일부로 당당히 자리 잡을 수 있다.

 

K 향토 보물 문화 콘텐츠 사업단의 역할

 

이를 위해 ‘K 향토 보물 발굴 콘텐츠 사업단’과 같은 조직이 출범해야 한다. 이 사업단은 전국의 숨겨진 보물을 조사·채록하고, 이를 디지털 아카이브화하며, 작곡가·예술가·기획자와 협업해 작품으로 재탄생시키는 허브가 되어야 한다. 또한 공연, 축제, 전시, 국제 교류 사업을 통해 향토 보물을 세계 무대에서 소개하고 상품화하는 전략적 중심이 될 수 있다.

 

세계로 나아가는 K-Classic 융합 콘텐츠

 

향토 보물은 단순히 지역의 전통을 넘어,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로 승화될 때 진정한 힘을 가진다. 발효 음식의 맛을 K-Classic 음악으로 표현하거나, 지역 설화를 오페라와 무대 예술로 구현하는 등 융합형 콘텐츠가 답이다. 이미 K-팝이 세계인의 감각을 사로잡았듯, K-Classic 또한 향토 보물을 매개로 세계 예술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수 있다.

 

특히 K-Classic은 지난 13년간 브랜드를 알리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칸타타 한강」, 「송 오브 아리랑」 등 굵직한 작품을 만들어 국내외 무대에서 활발히 공연해 왔다. 이 과정에서 축적된 경험과 레퍼토리는 세계 시장에서 한국적 원형을 알리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 곧 세계 오케스트라와 합창단들이 우리 작품을 다루는 것이 하나의 흐름이자 경쟁력이 되는 시대가 올 것이다. 이미 임재식 지휘자가 이끄는 스페인 밀레니엄 합창단, 독일 도르트문트에서 활동 중인 정나래 지휘자의 합창단이 앞장서 활약하며 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한국적 보물이 세계 예술 현장에서 빛을 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며, K-Classic의 밝은 전망을 더욱 확신하게 만든다.


Embarking on the K-Heritage Treasures Content Project

Tak Gye-seok, Chairman of the K-Classic Organizing Committee

From “Local Knowledge” to “Heritage Treasures”

The term “local knowledge” sounds overly academic and rigid. By contrast, the phrase “heritage treasures” feels warm, familiar, and approachable to the general public. The very word “treasure” carries a positive resonance that evokes curiosity and engagement. For this reason, it may be more appropriate to speak not of a “local knowledge industry,” but of a “heritage treasures cultural content industry.” Adding the modern keyword content expands its reach and creates broader participation.

Reinterpreting Heritage Treasures for Globalization

Heritage treasures are not merely about preserving tradition. They must be rediscovered, reinterpreted, and creatively developed into global products. Fermented foods, folk songs, legends, customs, and regional arts all hold the potential to be transformed into cultural content. The crucial task is to respect their original essence while presenting them in formats that meet global standards. In this way, Korea’s uniqueness can coexist with universal values that resonate internationally.

Bartók, Kodály, and Korea’s Challenge

Hungary’s Bartók and Kodály systematically collected folk music and elevated it into high art, leaving a profound mark on world music history. Korea now needs composers of similar vision. The era of merely learning Western musical techniques has passed. What is required today is to follow the framework of world music history, while filling its content with Korean heritage treasures. Only then can Korean music stand proudly as part of the global music narrative.

The Role of the K-Heritage Treasures Content Project

To achieve this, an organization such as the “K-Heritage Treasures Content Project” must be established. This body would research and archive hidden treasures across the country, digitize them, and collaborate with composers, artists, and producers to transform them into new works. Through performances, festivals, exhibitions, and international exchanges, it could serve as a strategic hub for showcasing and commercializing Korean heritage treasures on the global stage.

Toward Global K-Classic Fusion Content

Heritage treasures hold true power when they transcend local traditions and evolve into values shared universally. Imagine expressing the depth of Korean fermented flavors through K-Classic music, or transforming regional myths into operas and stage works—fusion content of this kind offers the answer. Just as K-pop has captured global audiences, K-Classic can also create a new paradigm in the arts by drawing upon heritage treasures as a creative medium.

Over the past 13 years, K-Classic has built its brand by creating landmark works such as Cantata Hangang and Song of Arirang, presenting them on stages both at home and abroad. The experience and repertoire accumulated through these efforts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bringing Korean originality to the global cultural market. Soon, it will become a mark of prestige for international orchestras and choirs to perform Korean works. Already, Maestro Im Jae-sik’s Millennium Choir in Spain and Conductor Jung Narae’s choir in Dortmund, Germany, are taking the lead, demonstrating the possibilities ahead. These developments confirm that treasures rooted in Korean identity can indeed shine on the world’s artistic stage, strengthening the bright future of K-Clas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