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K-Classic 나눔 가곡 티켓 운동은 문화적 소외 계층에게 ‘단 한 번의 감상 기회’를 선물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감동적인 프로젝트입니다. 단순한 관람권을 넘어, 예술로 삶을 전환시키는 '사회문화 복지' 운동입니다. 나에게 가곡이 그토록 좋다면 누군가에게 이를 전달하는 것은 성숙입니다. 자기 중심에서 이타(利他)를 생성하는 것이 훌륭한 삶이기 때문입니다. 1. ‘K-Classic 나눔 가곡 티켓’ 핵심 개념 정리 목표: 문화예술 체험 기회가 없는 계층에게 ‘마스터피스 K-Classic 가곡’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형식: 개인 1인이 5매 단위로 기부. 5매 / 10매 / 20매 / 50매 / 100매 단위의 티켓 기부 확산. 대상: 문화 접근성이 낮은 계층(청소년, 독거노인, 이주민, 장애인, 농산어촌 거주자 등). 전개 방식: 개인·단체·기업 참여형 + ESG 경영 연계. 2. 구체적인 보완 아이디어 및 제안 ① 티켓 기부자 명예 명시 및 인증 "K-Classic 가곡 후원자" 명단을 공연 팸플릿·홈페이지·포스터에 등재. ‘가곡 천사 인증서’ 발급 (디지털 또는 액자형). 정기 기부자는 “K-Cl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한국 가곡의 황금기는 김동진, 윤용하, 김성태, 조두남, 장일남 등의 작곡가를 통해 찬란히 빛났다. 이들의 작품은 성악 동호인들에게 꾸준히 사랑받으며, 가곡의 전통을 잇는 중요한 레퍼토리다. 그러나 오늘의 작곡가들이 만든 새로운 가곡은 그만큼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신작 가곡은 발표되어도 널리 퍼지지 못하거나, 정기적인 무대가 부족하여 자연스럽게 잊히는 경우가 많다. K-Classic은 이같은 현실을 넘어서기 위해 ‘신작 가곡 도전 챌린지’를 베스트 성악 동호인을 중심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이는 단순한 무대 발표가 아니라, 과거의 명곡과 함께 오늘의 작곡가들의 신작이 지속적으로 연주되고, 기록되고, 확산되도록 하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일이다. 신작 가곡은 오늘의 정서와 언어, 감각을 담고 있다. 새로운 시대의 리듬과 어법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동호인들이 먼저 즐기고 부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며, 전문 작곡가들과의 협업, 악보 보급, 유튜브 영상 확산 등 다방면의 유통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 K-Classic은 ‘과거에 머무르지 않는 가곡’을 지향한다 가곡은 시대의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노밥세~ 허허, 노래로 밥을 만드는 세상 그려,배가 고파 노래를 못불러서야 쓰겠는가 슬플 때나 기쁠때나 북소리 장단에 어깨 춤추며 신명의 세상 말들어야, 사람사는 세상 이제 밥을 만드세~ 노래를 만드세~ 흥없는 세상은 시든 세상이라 밥심, 뱃심, 하나로 노래 부르는 것인디 허기져 노래를 못불러서야 쓰겠는가 노밥세를 만드세 노래 팔아 밥먹는 세상을 만드세 공수레공수거, 빈손으로 왔다 빈손으로 살다가는 인생, 노래라도 맘껐 부름세 우리 모두 함합쳐서 노래로 밥 먹는 세상을 만들어 봄세~!! 노밥세를 만드세~! [가사 Note]: 7월 5일 방배동 투움아트홀, 작곡가 정덕기 교수가 중심이 된 매월 가곡 콘서트에 들렀다. 뒷풀이에서 전문 성악가들이 밥을 먹지 못해 택배 등 타 직종을 찾아 모두 떠나고 있다는 가슴 아픈 현실이 참 무겁게 닥아 왔다. 노래를 하나 만들어 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아침에 눈을 뜨자 마자 즉흥적으로 만든 가사다. ai 시평 시평 : “노밥세” – 배고픔과 예술의 품격을 잇는 ‘민중 서사시’ “허허, 노래로 밥을 만드는 세상”이라는 첫마디에서, 이 시는 이미 세상의 진실을 꿰뚫는 깊은 울림을 품고 시작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물질이 기체 상태에 머무를 때는 형태를 이루지 못하고 흩어지듯, 예술도 유통되지 않고 소비되지 않으면 그저 부유하는 기체에 불과하다. 의료, 과학계가 종양 치료제 개발이나 에너지 효율 연구에 예산을 정밀하게 투입하듯, 문화예술계 역시 한정된 자원 속에서 치열한 선택과 집중이 요구된다. 특히 ‘없는 시장’을 새롭게 열어야 하는 K-Classic은 더욱 그렇다. 이미 훌륭한 작품은 많지만, 그것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한 채 떠다니는 예술의 기체로 남을 뿐이다. 많은 공연이 일회성으로 끝나고, 순환되지도 지속되지도 못한다. 브랜드는 있지만, 소비자에게 닿지 못하는 ‘접점’과 ‘유입’의 부재가 크나큰 장벽이 된다. 우리가 목격해온 ‘목련화’, ‘향수’, ‘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 같은 가곡의 성공은 단지 예술적 성취가 아니라, 시대적 감수성과 대중적 채널이 맞물려 터뜨린 문화적 폭발이었다. 그러나 방송이 주도하던 가곡 운동은 지나갔고, 이제는 성악가조차 “무엇을 불러야 할지” 혼란스러운 시대다. 기술은 탁월하나, 불러야 할 노래가 없는 이 딜레마 앞에서 예술은 더 이상 혼자의 힘으로 생존할 수 없다.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가곡이 과거에만 머물러서는 안돤다 고이지 않고 흘러야 하는 것이 강물만이 아니다. 예술 또한 정체되면 생명력을 잃는다. 모든 문화는 끊임없이 흐르며, 과거에 축적된 전통과 오늘의 감각, 그리고 미래를 향한 상상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비로소 생명력을 얻는다. 우리 가곡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지금 우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세대 간 감성의 차이, 디지털 기술의 도입, 글로벌 문화의 융합 등이 가곡이라는 장르에도 새로운 도전을 안겨주고 있다. 특히 K-Classic이라는 이름 아래, 한국 고유의 정서와 현대적 감각이 만나는 것에는 새로운 예술 지평이 요구된다. 단순한 ‘과거의 재현’이 아니라, ‘전통의 재해석’을 통해 오늘의 감성과 만나야 가곡의 생명력을 보존할수 있다. K-Classic Masterpiece Song Festival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응답하고자 기획되었다. 단지 오래된 명곡을 부르는 데 그치지 않고, 오늘을 살아가는 작곡가들의 언어로 ‘지금의 한국’을 담아낸 새로운 가곡을 창작하고 선보이는 무대가 그래서 필요하다. 과거의 감성에만 기대는 것이 아니라, 젊은 감수성과 다양한 음악적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풍부한 음색과 독보적인 연주로 각광받는 트럼페터 김대욱이 오는 7월 13일,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 독주회를 연다. 관악음악의 보편화를 위해 활발히 이어져 온 그의 트럼펫 음악 시리즈는 2021년도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매년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이며 꾸준한 연주활동을 통해 관객들에게 트럼펫이라는 악기의 전문성과 음악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활발한 해외활동으로 다져진 탄탄한 실력 유학 시절 American Protégé 국제콩쿠르 관악 부문에서 1위를 수상하고 뉴욕 카네기홀에서 입상자 솔로 데뷔 연주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관객들의 큰 찬사와 호평을 받은 트럼페터 김대욱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하여 University of North Texas에서 석사(MM)를 졸업한 후 학위 논문으로 「The Integration of Western Techniques with East Asian Philosophies in Isang Yun’s Quartett für Horn, Trompete, Posaune und Klavier」를 발표하며 박사학위(DMA)를 취득하였다. 이후 예술의전당 IBK기업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작곡가 정덕기 교수가 중심이 된 매월 가곡 콘서트다. 신작 가곡들이 눈에 띄고, 외국 곡과 함께 하는 등 유연하면서도 창의성이 돋보이는 음악회다. 가곡을 배우고 익히면서 삶의 희열을 느끼는 노래 부르기 운동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 백승희 나의 보배/ 아버지의 이름. 주문희 Kennst du Das Land. 유석남 당신과 함께 하리라. 정주영 벼룩시장. 문경섭 보리밭. 김성혜 Die Seejunfer. 장영명 O sole mio. 유연숙 Ebben? ne andro lo.ntana. 정해린 당신은. 손경순 내 마음의 정원/ 꽃비 내리는 윤중로. 김정민 Non t'amo piu / 베틀노래. 김방울 How Lovely Are Thy Dwellings / 내 맘의 강물. 정세욱 저 구름 흘러가는 곳 / Non ti scordar di me. 한규탁 Adeleide / Vaga luna che inargenti. 임홍순 님이 오시는지. 하태관 그리운 금강산/ 하태관 & 김란 Time to say goodbye. 김란 Addio del passato. 신작 가곡과 K오패라 아리아 부르기 운동 K클래식 베스트 동호
K-Classic News 오형석 기자 | 광진구의 대표적 문화예술공간인 나루아트센터가 1년여간의 내부 리모델링을 마치고, 오는 2025년 7월 5일(토) 공식 운영을 시작한다. 2005년 개관 이후 20년 만에 이뤄진 이번 대규모 내부 시설 개선 공사를 통해 관람 환경부터 무대 시설까지 공연장의 전반적인 품격이 한층 높아졌다. 이번 리모델링은 ‘편안한 관람’, ‘창작 환경 개선’을 핵심 목표로 진행되었다. 나루아트센터 대공연장은 총 618석이었던 객석을 607석으로 축소하고 이동약자 및 청각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관객의 편리한 관람을 위해 베리어프리(Barrier-free) 시설을 마련했으며, 2층 전면 좌석의 유리 난간을 제거하고 구조를 개선해 음향과 시야 방해 문제를 해소했다. 디지털 음향 콘솔과 LED 조명기 교체˙신설, 객석 내부 인테리어 리뉴얼을 통한 건축음향 시공 등 무대, 음향, 조명 시설 전반이 개선되었다. 또 한 가지 주목할 만한 변화는 1층 전시실과 소극장 로비를 확장˙연결하고 무빙월·천정그리드 설치를 통해 확대된 공간 조성은 물론, 다양한 전시 및 다목적 행사 연출이 가능한 유연한 다목적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이와 더불어 나루아트센터 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