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원종섭 詩 칼럼니스트 | 눈부시게 아름다운 5월에 눈부시게 아름다운 5월에 모든 꽃봉오리 벌어질 때 나의 마음속에서도 사랑의 꽃이 피었어라 눈부시게 아름다운 5월에 모든 새들 노래할 때 나의 불타는 마음을 사랑하는 이에게 고백했어라. - Heinrich Heine 눈부시게 아름다운 봄은 우리를 '시각적 열반 Visual Nirvana ' 에 들게 합니다 -wannabe 얼굴보다 표정으로 몸매보다 자세로 실력보다 매력으로 매력은 습관으로 당신은 그렇게 아름답습니다 처음으로 사랑하는 사람은 비록 불행하다 해도 신이라네 정말 신박한 생각입니다 하지만 불행한 사랑을 두 번씩 하는 사람은 바보라네 나는 그러한 바보, 사랑받지도 못한 채, 또 다시 사랑에 빠졌네! 어찌하여 나의 눈동자는 흐리는가 무슨 일일까, 내 외로운 눈물은 눈물이 괴어 볼 수가 없다 옛부터 내 눈에 스몄던 정이 사라지지 않고 괴어 눈물이 되네. 아아, 내 가슴에 품고 있던 사랑마저 하염없이 한숨처럼 사라졌거늘 옛 고독의 눈물이여 왜 그런지 그 까닭은 알 수 없지만 내 마음은 자꾸만 슬퍼지나니 옛날부터 전해져 오는 이야기가 내 마음에 자꾸만 메아리친다. -로렐라이,
K-Classic News 원종섭 칼럼니스트 | 산유화 山有花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산에 산에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산에서 우는 작은 새여 꽃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네 산에는 꽃 지네 꽃이 지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지네 《산유화》(山有花) 1924년 10월 《영대》 3호에 발표. 1925년 시집 《진달래꽃》에 수록 아름답습니다. 존재의 근원적 고독이 저만치 흐릅니다. 탄생과 소멸의 순환은 끊이지 않고 계속되고 산유화는 산에서 피고 지는 모든 꽃을 의미합니다 실제 꽃이름이 아닙니다. 우리는 홀로 외롭게 피고 지는 존재 산은 존재의 생멸이 순환되는 근원적 고독감을 발견하는 공간입니다. 그렇게 시는 고독하게 태어나고 고독하게 살다가 고독하게 돌아갑니다. 소월 의 시에서는 우리 겨레가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민족 동일체적인 얼의 소리가 들려오는 듯 합니다. 김소월 金素月 1902-1934. 대한민국 평안북도에서 태어났습니다. 본명은 김정식 金廷湜, 본명보다 소월 '素月 흰 달' 이라는 아호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민족의 토속적인 한과 정서를 그대로 담아낸 시를 써냈습니다. 1904년 아버지 김성도가 친
K-Classic News 원종섭 기자 | 인생 인생을 꼭 이해할 필요는 없다 인생은 축제와 같은 것 하루하루를 일어나는 그대로 맞이하라 길을 걷는 아이가 바람이 불 때마다 날려 오는 꽃잎의 선물을 받아들이듯 아이는 꽃잎을 모아 간직하는 일에는 관심이 없다 머리카락에 행복하게 머문 꽃잎들을 가볍게 떼어 내고 아름다운 젊은 시절을 맞이하며 새로운 꽃잎을 향해 손을 내밀 뿐 -릴케 , 인생 Du musst das Leben nicht verstehen 바람이 불 때 흩어지는 꽃잎을 줍는 아이들은 그 꽃잎들을 모아 둘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꽃잎을 줍는 순간을 즐기고 그 순간에 만족하면 그뿐입니다. 우리는 '의문투성이의 신비'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인생의 사건들에는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인생은 이해의 대상이 아니라 경험의 대상이며 풀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살아야 할 신비입니다. 23세 무렵에 쓴 초기시입니다. 동경과 환상, 순수한 사랑을 솔직하게 노래한 것이 이 시기 릴케 시의 특징입니다. 하이데거는 릴케를 '모든 시인들의 시인'이라고 했습니다. 그만큼 인간이라는 실존, 고독, 삶과 죽음에 대해 깊은 의미 추구를 했기 때문입니다. 라이너 마리
K-Classic News 원종섭 기자 | 고독 Solitude Laugh, and the world laughs with you; 웃어라, 세상이 너와 함께 웃을 것이다, Weep, and you weep alone. 울어라, 너 혼자만 울게 되리라, For the sad old earth must borrow it's mirth, 낡고 슬픈 이 땅에선 환희는 빌려야만 하고, But has trouble enough of it's own. 고통은 그 자체만으로도 가득하니까. Sing, and the hills will answer; 노래하라, 언덕들이 응답하리라 Sigh, it is lost on the air. 탄식하라, 허공에 흩어지고 말리라 The echoes bound to a joyful sound, 메아리들은 즐거운 소리에 춤을 추지만 But shrink from voicing care. 너의 근심은 외면하리라. Rejoice, and men will seek you; 기뻐하라, 사람들이 너를 찾으리라 Grieve, and they turn and go. 슬퍼하라, 그들은 너를 떠날 것이다. They want full measure of all
K-Classic News 원종섭 칼럼 | 사랑시 사랑을 할 때 우리는 풀을 사랑하게 된다. 헛간도, 가로등도 그리고 밤새 인적 끊긴 작은 중앙로들도 Love Poem Robert Bly When we are in love, we love the grass, And the barns, and the lightpoles, And the small mainstreets abandoned all night. 지느러미 없는 물고기 처럼 살며 사랑이 메말라 버린 듯한 세상에서 사랑 타령을 합니다. 낭만적 사랑의 기간과 더 깊은 사랑에 유효기간이 있습니다. 사랑도 과하면 독이 됩니다 그래서 유효기간이 있나봅니다. 하지만 사랑은 세상을 아름답게 만드는 뜻밖의 능력입니다 -Wannabe 사랑을 하게 되면 평소에 관심 갖지 않던 것들까지 두루 사랑하게 됩니다 무심코 지나치던 길가의 풀꽃 페인트칠이 벗겨져 얼룩진벽 밤새 사람의 발길 끊어진 고독한 도로조차도 갑자기 인식의전환이 일어나고 눈에서 비늘이 벗겨진 것처럼 세상이 새롭게 다가옵니다 사랑은 상대방의 아름다움을 보는 것이며 이를 통해 주위 모든 것들의 아름다운 속성까지도 인식하게 됩니다. 그때 우리는자기중심적이었던 자아를
K-Classic News 원종섭 칼럼니스트 | 신과 나 신과 나는 작은 배에 함께 탄 두 명의 뚱보 같다. 우리는 끊임없이 서로 부딪치며 웃는다. Hafiz: God and I God and I have become like two giant fat people living in a tiny boat. We keep bumping into each other and laughing. – Hafiz & Daniel Ladinsky in The Gift: Poems by Hafiz 지혜와 통찰의 하피즈의 시들은 우리를 새롭게 합니다 살아 있음을 감사하게 만드는 것들에 가까이 있어야 하겠습니다 이번 생은 틀렸어 , 하지만 이왕 태어난 김에 열심 살아 봐야지요 그래도 우리는 꽃 피는데로 가려합니다 하피즈 Hafiz 1320~1389. 시와 포도주와 장미로 유명한 이란의 시라즈에서 출생한 서정 시인입니다. 피르다우시, 사디, 루미와 함께 페르시아 문학의 4대 시인으로 꼽힙니다. 페르시아의 대표적인 시 형식 4행으로 된 서정시 '가자'을 완성시켰으며, 이것이 괴테를 거쳐 19세기 서양의 시 형식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피즈의 시는 오늘날에도 페르시아 전통
K-Classic News 원종섭 대중예술 평론가 | 기도 위험에서 벗어나게 해달라 기도하지 말고 위험에 처해도 두려워하지 않게 해달라 기도하게 하소서 고통을 멎게 해달라 기도하지 말고 고통을 이겨낼 가슴을 달라 기도하게 하소서 생의 싸움터에서 함께 할 친구를 보내달라 기도하는 대신 스스로의 힘을 갖게 해달라 기도하게 하소서 두려움 속에서 구원을 열망하기 보다는 스스로 자유를 찾을 인내심을 달라 기도하게 하소서 나의 성공에서만 신의 자비를 느끼는 이기주의자가 되지 않게 하시고 나의 실패에서도 신의 손길을 느끼게 하소서 문명의 달콤한 유혹에 빠져든 시대 시대를 막론하고 시인 타고르의 언어는 아름답게 느껴집니다. 우리는 겸손할 때 위대한 자에 가장 가깝습니다. 나의 인생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가장 큰 교훈은 이 세상에는 고통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고통을 극복하여 승리를 거두는 것이 자기 자신에게 달려 있다는 사실과 그 고통을 참기쁨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능력 또한 자신 속에 있다는 것입니다 예술에서 인간은 자신의 사물을 드러내지 않고 자신을 드러냅니다. 창문이 닫힌 사원 한구석에서 그대는 누구를 찾고 있는가? 두 눈을 크게 뜨고 그곳에 신(神)이 없는 것을 잘
K-Classic News 원종섭 칼럼니스트 | 사막 그 사막에서 그는 너무도 외로워 때로는 뒷걸음질로 걸었다. 자기 앞에 찍힌 발자국을 보려고. Il se sentait si seul Dans ce desert Que parfois Il marchait a reculons Pour voir quelques traces devant lui. -Hortense Vlou, Desert He felt so lonely In this desert That sometimes He walked backwards To see some tracks in front of him. - Hortense Vlou <Desert> 곁에 아무도 없다고 느껴질 때입니다 시인의 눈물겨운 생의 의지가 내 가슴에도 쿡 찍힙니다 그녀의 외로움에 공감하는 순간 우리는 치유를 받습니다 * 이 시는 정신병원에서 쓴 시라고 알려졌습니다 고독의 밑바닥에서 거기서 시라는 밧줄을 붙잡고 간신히 일어 쓴 시 입니다 우리는 지느러미 없는 물고기 처럼 살아갈가야 할 때도 있습니다 우리는 고정된 존재가 아닙니다 끊임 없이 다른 무엇으로 되어 가는 과정에 있습니다 고생만하는 줄 알았는데 우리는
K-Classic News 원종섭 평론기자 | 어떤 사람 이상한 일은 어떤 사람을 만나면 몹시 피곤해진다는 것, 그런 사람과 함께 있으면 마음속 생각이 모두 움츠러들어 마른 잎처럼 바삭거린다는 것. 그러나 더 이상한 일은 또 다른 사람을 만나면 마음속 생각이 갑자기 환해져서 반딧불이처럼 빛나게 된다는 것. Some people Isn’t it strange some people make you feel so tired inside, Your thoughts begin to shrivel up like leaves all brown and dried! But when you’re with some other ones, it’s stranger still to find Your thoughts as thick as fireflies all shiny in your mind! - Rachel Lyman Field, from <The Pointed People> 우리의 마음을 반딧불이처럼 밝히는 힘을 가진 시입니다 그렇습니다 두 종류의 사람이 있습니다 기를 빼앗고 인생을 재미없게 만드는 사람과 봄날처럼 마음이 밝아지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나 역시 누군가
K-Classic News 원종섭 평론 기자 | 바람만이 아는 대답 사람은 얼마나 많은 길을 걸어봐야 진정한 삶을 깨닫게 될까? 흰 비둘기는 얼마나 많은 바다 위를 날아야 백사장에서 편히 쉴 수 있을까? 전쟁의 포화가 얼마나 많이 휩쓸고 나야 영원한 평화가 찾아오게 될까? 친구여, 그건 바람만이 알고 있어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얼마나 많이 올려다보아야 진짜 하늘을 볼 수 있을까? 얼마나 많은 귀들이 있어야 타인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얼마나 많은 사람이 희생되어야 무고한 사람들의 죽음을 깨달을 수 있을까? 친구여, 그건 바람만이 알고 있어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얼마나 긴 세월이 흘러야 산이 씻겨서 바다로 내려갈까? 사람은 참된 자유를 얻을 수 있을까? 언제까지 고개를 돌리고 외면할 수 있을까? 친구여, 그건 바람만이 알고 있어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Blowin' In The Wind How many roads must a man walk down Before you call him a man? Yes, 'n' how many seas must a white dove sail Before she sleeps on the 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