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탁계석 칼럼] K 콘텐츠 소외 장르 합창, 가곡을 지원해야

합창 과거 방식으론 안된다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청와대 사랑채에서 열린 세종대왕탄신기념 여민락 공연 

 

한국합창의 하향 곡선을 상승 기류로 바꾸는 대안은?  

 

코로나 이후 모든 예술단체가 어려워졌다. 특히 호흡을 기반으로 하는 합창과 성악이 더 어려운 상태다. 모여서 노래를 하다 보면 감염이 높다고 해서  합창은 거의 반토막이 났다. 그래도 직업 합창단이야 숫자가 변하지 않겠지만 동호인 합창 단체들은  절반 가량이 줄거나  해산되는 등의 고통을 겪었다. 그렇다고 해서 공공지원에서 합창이나 가곡이 선호되기는 커녕 기금 지원 탈락 0순이다. 아예 카테고리 취급을 안하는 서글픔이다.

 

합창이 당당해질수는 없을까? 합창이 잘 나가던 시절도 있었지만 예날이다. 여기에 카리스마의 합창 리더의 얼굴도  사라졌다. 그렇다고 합창의 합리적인 총괄기구가 있는 것도 아니고 연대감도 없다. 합창이 국민적 공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성악의 최대 가치인데 이를 살리지 못하니 안타깝다. 새로운 콘텐츠가 없다면 합창은 설득력을 잃는 것이다. 

  

K 콘텐츠를 개발하고 더 좋은 작품으로 관객을 맞을 때 장르 축소 위기를 막을수 있다. 기악에 비해서 훨씬 성악이 호소력이 있음에도 이를 살리지 못한다면 누구라도 나서야 한다. 우리 말 기반의 합창과 가곡이 이제 세계인들의 관심을 끄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구축되어야 하고 그런 환경이 형성되고 있다. 한글을 배우너라 세종학당이 붐비고 프랑스 등 청소년들이 우리말 노래 부르기를 자랑으로 안다. 과거에 우리가 팝송 부르듯 한국의 위상이 달라진 것이다. 

 

한편에선  저출산으로 어린이 소년소녀 합창이 줄었고,  교회 성가대가 퓨전화 하면서 이 역시  합창의 미래가 밝지 않다.  합창이 사라질 것인가? 한국 합창총연합회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일까? 또 지휘자협회는 어떤 전략이 있는가? 

 

각종 사회 단체와 연대해 필요한 역사, 보훈 작품들  개발해야  

 

새로운 합창 문화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도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지휘자와 예술 감독이 나서야 한다. 각자도생 보다 민간합창단들도  시립합창단과 결합하고, 교류하면서 사회 테마를 합창 콘텐츠로 개발하는 등 합창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해야 한다. 그러지 못한다면 합창은 점차 위축되고 미래가 어찌될지 모른다. 

 

K클래식 조직위원회가 나서야 하겠다.  현황 파악을 하고, 고충을 귀담아 듣고, 합창이 다시 한번 르네상스하는 새로운 기운을 회복하지 못한다면 소외 장르에서 소멸로 이르는 과정을 밟을지 모른다. 합창이 우리네 삶과 일상에 깊숙하게 녹아들게 해야 한다.  패러다임 전환의 운전대를 누군가 잡아야 한다. 오늘 우리에게 던져진 과제가 아니겠는가!

 

Photo: 이미리 

photo: 이미리  인천시립합창단 윤의중 지휘자 취임 콘서트에 합창인들이 대거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