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Column

전체기사 보기
Column

[탁계석 노트 ] K-성악의 새로운 날개, 미래는 ‘레퍼토리’에 달려 있다

K-성악학회, 한국 성악의 새로운 출발점

탁계석 회장 기자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해방 이후 한국 성악은 눈부신 국제적 성과를 거두었다. 조수미, 홍혜경, 신영옥, 연광철 등 세계 정상급 무대에서 활약한 성악가들의 존재는 ‘한국 성악의 기량’이 세계적 수준임을 분명히 입증한다. 그러나 개인의 화려한 성취와 달리 국내 성악 생태계 전체는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 오페라하우스의 미비한 운영, 교수직 중심의 생존 구조, 반복되는 소수 서양 레퍼토리 등으로 인해 성악계는 새로운 확장 없이 제자리걸음을 이어가고 있다. 기량은 최고지만, 정작 ‘우리의 노래’가 없다 한국 성악은 소리와 기술력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관객을 설득할 ‘한국적 콘텐츠’가 빈약하다. 오랜 기간 라보엠·라 트라비아타·토스카 등 20개 내외의 서양 레퍼토리만 반복한 결과, 성악계는 매너리즘에 빠졌고 관객 세대는 뮤지컬·페스티벌·영상 기반 공연 같은 새로운 양식으로 이동했다. 이제 성악의 핵심 질문은 명확하다. “무엇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 기술의 시대를 넘어, 콘텐츠와 정체성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해외에서 먼저 부는 K-가곡의 바람 최근 KBS <K-가곡 슈퍼스타> 무대에서 외국인 성악가들이 완벽한 한국어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