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ews 김은정기자) 지난 상반기 3월26일 성수동 갤러리' KUZO'에서 작곡가 임동창의 아리랑을 모티브로 만든 ‘아리랑 변주곡’을 연주(주최,주관: 우락(음반기획사)했던 바하랑은 4월 미국으로 출국해 향후 글로벌 연주 일정을 모색하고 있다. 그는 미국 피바디 음대에서 한국전통음악 바탕으로 만들어진 ‘허튼가락’장르 연구로 박사논문 펴낸 재원이다. 가장 한국적인 음악인 ‘아리랑’으로 출사표를 던진 만큼 정통 K-클래식 아티스트로서 활약하면서 우리 작품을 세계에 알린다는 목표다. 피아니스트 바하랑(Edwin Kim, 33세)은 피바디 음대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취득하였고 호주 국제 쇼팽피아노 콩쿠르, 윤이상 국제 음악 콩쿠르 외 다양한 수상경력과 케네디 센터,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외 유수의 국제무대 경험을 쌓아왔다. 교회합창음악 싱어송라이터이면서 현대음악과 클래식 스탠다드를 엮어 기획하는 [Ensemble Evolve]의 총 음악감독이기도 하는 그는 본명 김성필과 Edwin Kim으로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다 이번 음반을 준비하며 어린 시절 첫 연주스승이었던 임동창(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65세)으로부터 '바하랑'이라는 예명을 받았다. ‘바’름을 마음의
(K-News 김은정기자) 제주국제관악콩쿠르, 17개국 255명 도전...역대 가장 큰 규모 우리도 외국에 부럽지 않은 자랑스런 페스티벌이 있다. 웅장한 규모와 다채로운 연주의 '제주국제관악제'다. 모두가 치져 있는 코로나19의 일상에 반전을 주는 힐링이다. 제주국제관악제조직위원회(위원장 이상철)는 19일 제26회 제주국제관악제와 제16회 제주국제관악콩쿠르 계획안을 발표했다. 오는 8월 8일부터 15일까지 제주문예회관, 제주아트센터, 서귀포예술의 전당, 서귀포 천지연폭포 야외공연장, 제주돌문화공원, 사려니 숲 야외무대, 예술곶 산양, 세계자동자피아노박물관 등에서 개최된다. 이 기간에는 트럼펫, 포른, 테너트롬본, 금관5중주 부문 콩쿠르 1,2차는 영상 심사로 진행된다. 교향악단 협연에 의한 결선은 오는 12월에 실시될 예정이다. 올해도 코로나 여파로 해외 유명관악단체와 음악인들의 참여는 무산됐으나, 상대적으로 국내 관악단과 세계적으로 명성을 쌓아가는 한국출신의 젊은 관악인들이 자리를 대신해 참신한 무대가 될 전망이다. 올해 제주국제관악제는 새로운 변화를 시도 우선, 겨울시즌을 도입해 여름과 겨울로 관악제를 나눴다. 여름시즌에 치중된 프로그램의 과중함을 분산시
(K-News 탁계석 비평가회장) 예술 모국어(母國語)살리기란? 우리에게는 대한민국의 독립, 건국, 자주의 근간이 된 날을 기념하는 5대 국경일이 있다.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이다.이 날들은 그 날의 역사와 정신을 잊지 않고 계승하려는데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기념일은 '기념식'이란 형식에 그치면서 퇴색하고 있다. 국경일이 '공휴일'이어서 추념(메모리얼 데이)보다는 ‘노는 날’로 더 강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국경일 오늘의 눈높이에 맞는 콘텐츠 개발로 소통해야 굳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가 없다’는 말을 하지 않더라도, 정신줄을 놓으면 되겠는가. 격동의 근대사에서 산업화, 근대화를 거치면서 죽도록 근로(勤勞)에만 매진했던 때에 국경일은 쉬는 날로서 성장의 힘이 된 것도 사실이다.그러나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주 5일제, 대체근무 등 환경이 크게 변하여서 국경일을 그저 놀기보다는 오늘의 눈높이에 맞게 복원(復元)해야 한다. 살만하면 잃었던 체면을 세우는 것이 개인이나 국가나 마찬가지가 아닐까. 그래서 국경일을 재해석하여 이 날이 아니면 그 어디에서도 볼수 없는 역사의 현장성을 감동으로 만들었으면 한다. 정신도 살리고,
김은정 기자: 갑자기 신문을 창간하시는 배경이 궁금합니다 탁계석 회장: 내년 K-Classic이 10주년입니다. 그간 정신없이 달려오너라 놓친 일들이 많았습니다. 그동안 국립합창단과 칸타타 작품 만드는데 집중했고 오페라도 좀 있고요. 나름대로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젠 이것을 확산시켜 음악사에 남는 레퍼토리로 정착해야 하는 것이 남았죠. 그리고 K-Classic 지향점인 글로벌과 공유도 해야 하고요. 이런 것들을 하나씩 구체화하는 일환에서 매체 발간 권유가 있어서 나름대로 타이밍이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김: 어떻게 운영하실 것인가요. 언론 환경도 많이 바뀌었는데요. 탁: 그렇지요. 평론이나평론이나 언론은 늘 한 날개이니 평생 이 작업과는 닟설지않죠. 단지 사업성이 개제되는 것이어서 글만 썼지만 언론의 특성은 제가 잘 압니다. 그러나 기존 신문과는 전혀 다르죠. 서로 만나지 못하고 대화도 끊어진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영상이 늘어나는 만큼 각자의 활동이나 예술가로서 하고 싶은 이야기들이 많이 있을 테니까 이것들을 담아보려는 겁니다. 모든 예술가 각자가 기자가 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죠. 김: 워낙 SNS의 발달로 글 쓰는 것이 평준화되었고, 1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