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기자 |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축사 김혜경 한국미래문화예술포럼 회장이 7월 31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개최한 문화예술계 핫이슈인 '청년 예술세대 일자리 창출과 방안 모색'에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비롯하여 각계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해 참신한 아이디어 제안과 현장의 상황을 풀어냄으로써 역대급 가장 내용이 알찬 토론회로 평가 받았다. 동시에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전국을 투어하면서 일자리 문제를 이슈화 할 예정이어서 지역의 대학 및 공연장, 문화재단 등이 비상한 관심을 갖게 될 것 같다<편집부>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축하말씀> K자만 붙으면 전 세계인들이 박수치며 따라하는 시대가 도래 K-컬처의 전성시대입니다. 단군 이래 처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느 곳을 가도 거기에 오피니언 리더를 포함해서 젊은 세대들 그리고 학생들이 저에게 쏟아내는 질문들을 보면 한국의 케이팝, 드라마 그리고 방송 그리고 음식, 화장품 이런 것들이 어떻게 대단하냐고 하며 그 비결과 비전을 물어보고 배우려고 하고 있습니다. K 라는 단어는 이제 마법의 요술 지팡이입니다. 어느 분야던지 K자를 갖다 붙이면
K-Classic News 탁계석 비평가회장 | 7월 31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 소회의실에서 토론참석자들의 기념 촬영 박보균 문체부 장관, 김승수 국회의원, 고학찬 전 예술의전당 사장. 김혜경 대표, 유윤종기자. 김효근 작곡가, 강화자 단장, 소프라노 박정원 , 탁계석 회장 등이 눈의 띈다. 미래 청년예술세대 일자리 창출과 방안 모색 : 네이버 통합검색 (naver.com) 김혜경 한국미래문화예술포럼 회장이 7월 31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개최한 문화예술계 핫이슈인 '청년 예술세대 일자리 창출과 방안 모색'에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비롯하여 각계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해 참신한 아이디어 제안과 현장의 상황을 풀어냄으로써 역대급 가장 내용이 알찬 토론회로 평가 받았다. 동시에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전국을 투어하면서 일자리 문제를 이슈화 할 예정이어서 지역의 대학 및 공연장, 문화재단 등이 비상한 관심을 갖게 될 것 같다<편집부> 유명 성악가와 콩쿠르 우승자들 설 무대 잃어 저는 확실하게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일자리 창출에 대해서 얘기를 하려고 합니다. 어쩌면 제 이야기가 듣다 보면 좀 황당하다는 얘기를 하실지 모르지만
K-Classic News | 대한민국 순수문화예술을 생각하는 모임 발족과 아울러 국회 포럼 개최 순수문화예술계의 기울어진 운동장 바로 잡기 미래 청년예술세대를 위한 일자리 창출 방향 모색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한국미래문화예술포럼'이 '미래 청년예술세대 일자리 창출과 방안 모색'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합니다. 이번 포럼은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실이 주최하고, '한국미래문화예술포럼(KFCAF ‧ 대표 김혜경)이 주관합니다. 대한민국의 문화예술은 미래 청년세대들에게 그 역할이 주어집니다. 이들 청년 예술가들이 마음 놓고 활동할 수 있는 기본 토대를 만들어야 합니다. 아울러 K-컬처의 우수성 및 문화 강국을 향한 한단계 높은 실천방안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문화계 내부의 기울어지는 운동장에 대한 반성과 치열한 성찰이 어느때보다 절실합니다. 이런 문제의식을 공유한 5명의 문화예술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하는, 소통과 공론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한국미래문화예술포럼' 김혜경 대표께서 발제자로 나서 <문화예술계 기울어진 운동장 바로잡기>와 <K-컬처를 위한 미래 청년세대들의 살아남기>를 주제로 발표
K-Classic News 탁계석(GS,Tak) 평론가 | 19일 오후 2시 천안 이원문화원에서 열린 크리스틴 터노이 초청특강 "The Changing Landscape of Music, Concert Production and Education for Today and the Future (현재와 미래의 음악, 콘서트 제작, 그리고 교육의 변화 추세)” (통역: Ji Young Lee) 변화와 다양성의 시대에 우리의 교육과 음악가들의 생각과 행동은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 Kristin Tjornehoj( (크리스틴 터노이)) 지휘자의 강의는 매우 유익하고 시의적절한 테마였다. 그는 어려서부터 음악을 했고 음악을 배워가면서 음악이 왜 필요한가? 음악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에 대해 깊이 생각하면서 늘 도전의 삶을 살아왔다고 말했다. 피아니스트, 지휘자, 색소폰 연주를 하며 오케스트라 지휘자가 되었다. 청소년 오케스트라 등의 지휘자 및 운영,기획자를 하면서 음악과 사회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를 지속했다. 청소년 오케스트라는 시민들이 기꺼이 티켓을 모두 구입하며 보통 1,500명 이상이 관람한다고 했다. 공짜 티켓이 없는 것은 시민의 음악에 대한 태도를 잘 조성한 것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전 출연진들이 관객의 커튼콜에 답하는 모습 드라마로 보는 가곡 '꽃별' 은 특별 만찬, 별미였다 무대는 요리를 놓을 수 있는 테이블이다. 그 테이블에 어떤 음식을 어떻게 배치해서 오신 손님들에게 맛있다, 정성스럽다 , 품격이 있다, 이런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자기가 원하는 곡을 어느 순서에든 부르고 나가는 기존의 가곡음악회와 괘를 달리하는 가곡 드라마 꽃별은 그래서 신선한 충격과 함께 관객의 뜨거운 호응을 끌어냈다. 창의력이 리더십을 만났을 때 변화는 시작된다. 무한 도전 의식과 긍정의 엔진을 가동하여 늘 새로운 것을 창안하면서 팀의 훈련을 강화하고 업그레이를 지속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 중심에 정원이경숙 이사장이 존재한다. 과연 가곡 드라마 꽂별은 무엇을 남겼나? 달마다 시청료를 자동이체하듯이 열리는 가곡 무대가 아니기에 기록의 필요성도 있다. 이번 '꽃별'이 개인사에서 소재를 선택한 것이지만 이것이 월남전과 연관되어 있기에 한국 근대화의 한 시절 시대 과정이었기에 충분히 사회성이 있다. 오늘에도 그 경험자들과의 연대성이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한 개인의 러브스토리에 그치지 않기에 드라마
K-Classic News 정교철 음악학자( 전 수원 과학대 교수) | 오랜만에 찾은 예술의전당 리싸이틀홀 무대에 바로크-로코코 스타일의 기품 있는 건반악기 두 종류가 놓여있다. 뒤편에 (아직은 한국에서 흔치 않은) 작고 가냘픈 그랜드 피아노 모양에 (요즘 피아노와는 다르게 흑백이 바뀐) 건반이 2층으로 겹쳐진 악기가 있다. 그 앞에 더 작고 더 보기 드문 (화려한 무늬로 채색되고 납작한 직사각형 상자 몸체의 열린 뚜껑 안쪽 면 중앙에, 그리이스 신화 장면이 폼페이 벽화 풍으로 그려지고, 뒤 악기에 비해 옥타브가 좁은 단층 건반을 지닌) 우아한 악기가 뚜껑이 열려 비스듬히 놓여있다. 뒤 악기는 독일어권에선 쳄발로(Cembalo), 이탈리아에선 클라비쳄발로(Clavicembalo), 영어권에선 하프시코드(Harpsichord), 프랑스어권에선 클라브쌍(Clavecin)이라는 다양한 명칭으로 알려진 17~18세기 건반악기다. 물론 200-300년 전에 제작된 오리지널 악기는 아니지만, 악기박물관에 보존된 장인 명품 악기의 구조와 재료, 제작방식 그대로 최근에 제작된 것이다. 비발디 바흐 헨델로 대표되는 바로크음악 시대에 유럽에서 사용되었고, 하이든 모차르트가 활
K-Classic News 황순학 교수 | “블랙은 신성함의 최종병기다!” 클래식이 갖는 의미를 쉽게 설명할 수 있고,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것들이, 바로 유럽의 명품 산업이다. 우리가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음악을 여전히 사랑할 수밖에 없는 이유와 명품 제품이 가지는 기술적 우수성과 심미적 아름다움은 어떤 점에서 서로 닮아있기 때문이다. 명품은 단순히 제품을 넘어 한 국가를 대표하는 문화적 자존심이라 할 수 있다.유럽이 우리보다 딱 반만 일하고 우리보다 소득이 높은 이유는 그들이 만들어 내는 제품에는 그들의 역사 즉 예술사가 숨어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시간에는 명품 브랜드 지방시(Givenchy)가 들려주는 중세 예술에 관한 이야기이다.중세 시대를 한 문장으로 설명할 때 우리가 자주 접하는 단어는 ‘암흑기’이다. 즉 중세 시대를 서양 역사에서의 ‘암흑기’라 흔히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중세 시대를 ‘암흑기’라 부르는 이유 중 하나는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성이 배제된 신 중심의 사회였다는 점을 부각하기 위한 측면이 있고, 다른 측면 하나는 중세 말의 시작된 고딕 예술의 특징 중 하나인 신비주의적 어두움에서 비롯된다. 신비주의적 어두움이라 할
K-Classic News 장은훈 성악, 작시, 작곡가 | 2023년 5월 6일 순천시 문화예술회관에서의 첫 번째 공연 "순천국제가곡제" (그리움이 된 그날의 숙련됨 중에) - Google 검색 잊혀가는 가곡의 현주소를 물어 나선지 수 십 년,시와 음악의 환상적 궁합, 감성과 이성적 정화 속에 인문학적 철학적 근엄한 바탕,자신의, 시대의 아픔과 기쁨 등의 이야기들이 예술적 경지에 도달된 세련된 몽환적 맵시,특히 한국가곡은 서양의 표시적 물결 위에 한국의 언어적 돚을 단 아름다운 배와 같으니 잠시, 또는 평생의 잊을 수 없는 여행과 같다. 마음 다하여 멋진 음성으로 가곡을 부를때면 신의 영역을 오가며, 애잔한 사랑과 겸허한 분노가 철석 이는 살아있는 생태가 되어 누구나 꽃이 되어보는 황홀한 순간이다. 듣는 것도 좋지만 직접 불러보는 맛은 일상의 음식과 다르다. 이틀에 2회 공연을 마친 "순천국제가곡제"는 아직 여리지만 찬란한 아침 햇살을 받고 마치 춤추듯 반짝이는 나뭇잎과 같으니 언젠가는 베지 못할 큰 나무로 성장하리라 믿는다. 2023년 5월 6일 순천시 문화예술회관에서의 첫 번째 공연은 음악평론가 탁계석의 진행 속에 많은 성악가의 기량이 벅찬 환호 속에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혼자서 날 수 없을 때, 날개는 누군가의 조력이 필요하다 K-Musician Up(케이 뮤지션 업=케이엠 업) 프로젝트는 음악가가 자신의 연주를 하는 것에 비해 현실을 타개해 나가는 것이 훨씬 어렵다는 전제하에 이를 돕기 위한 것에서 출발하는 아티스트 지원책이다. 배움의 과정이나 콩쿠르에 까지는 자신의 피나는 노력의 결실이지만, 이후에 겪는 숱한 난관과 현실 적응의 어려움은 연주가의 사기를 떨어트리고 심하면 중도 포기하게 만든다.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것 들과 만나는 매일 매일의 복잡한 일들은 연주가에게는 큰 고통이다. 따라서 이같은 현실의 오해와 갈등엔 누군가의 조력이 필요하다. 무기력함을 털어내는데 노련한 경험은 네비게이센이다 방송에서 국민 멘토 '오은영 프로그램'은 치유와 방향성에서 명쾌한 답을 보여 준다. 순수하게 음악에만, 오직 예술 지향만 쫒은 이들에게서 현실의 괴리감은 더욱 깊음을 자주 목격한다. 때문에 이는 본인의 잘못이라기보다 사회 제도와 환경의 문제가 더 많음을 모르지 않는다. 변하지 않는 기득권을 향해 소리조차낼 수 없는 좌절감과 무기력은 1인 사업자가 되어야하는 존재감에서 더욱 안타깝게 드러난다
K-Classic News 탁계석 비평가회장 | 좋은 관점의 네트워크가 완성도 높여 한 작품이 만들어지는 데는 많은 관점이 작용한다. 각자의 보는 관점이 과정에서 좋은 점도 있고 거꾸로 방해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 관점들이 부딪히면서 작품이 만들어지지만 효율의 최적화를 찾는 것이 모든 생산이 갖는공통점이다.또 작품이 만들어져서 완성되고 그 작품이 공연되는 과정에도 많은 사람들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 이때 과정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를 만난다면 시행착오로 사고를 내거나 속도를 늦추게 된다.충분히 서로의 다툼이 발생할 수 있다. 관점의 차이가 클수록 활시위를 떠난 과녁의 이탈이다. 달에 인공위성을 올리는 것이나 암의 세포를 제거하거나 방사능 페기물을 다룰 때 엄격한 권리와 책임이 부여된다. 선수가 선수를 알아 보는 캐스팅이 성공 부른다 영화에서는 거대한 자본이 투입되는 만큼 현장에서 물이 익은 고수들이 투입되고 감독은 투수로서 게임을 풀어 간다. 혼자가 아닌 장르의 융합과 각분야가 공장 시스템처럼 역할 분담이다. 흥행이란 그라운드에서 피말리는 접전으로 사력을 다한다. 그래도 실패율이 90%를 상회하고 작품 하나 건지는게 결코 쉽지 않다. 명작 반열에 오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