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노유경 평론가 | 제 15회 아카데미 열정과 나눔 정기연주회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제목으로 2022년 9월 27일 화요일 오후 7시 30분,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에서 연주되었다. 아카데미 열정과 나눔은 2019년부터 지난 3년간 „상실과 회복“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인문학과 함께한 음악회를 진행시켜 왔다. 특히 지구와 자연환경 보호를 위한 주제를 가지고 인간과 환경을 고민하는 음악회를 진행하는데, 작년에 The only 주제에 이어 올 해 „Gone with the Wind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테마 아래, 관악기 트럼펫과 플루트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프랑스 작곡가 Antré Jolivet졸리베와 Arthur Honegger오네게르의 작품은 오프닝을 알리고 마지막을 장식했다. 졸리베 작품에 이어 정승재의 개작 초연이 Airs II for Flute, Piano &Strings 연주되고, 이문석의 위촉 초연이 Trumpet Sanjo for Trumpet and Chamber Orchestra 연주되었다. 졸리베의 음악은 올리비에 메시앙의 신비한 색채와 비슷하기도 하며 작품 이오니제이션으로 전위음악의 대부라고
K-Classic News 노유경 평론가 | 2022.7월 1일 ,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혼불7, 대금 이아람 120주년 기념 음악회 오프닝이 된 <혼불> 작곡가 임준희의 작품 7번째 < 혼불>이 2022년 7월 1일 베를린 콘서트 하우스에서 세계 초연되었다. <120년 만의 만남, 대한제국 애국가 공식 제정 120주년 기념 음악회>의 오프닝으로 <혼불>이 밝혀졌다. <혼불>이라는 제목을 살펴본다. 혼도 불도 센 단어 같다. 혼이 나간다. 영혼이 사라진다~ 처럼 혼에 관한 단어들은 모호하고 경이롭다. 불 또한 만만치 않은 단어다. 5원소에 나왔던 물, 불, 흙, 바람, 그리고 불, 불은 빛이고 열이며 인류와 불과의 관계는 문명이고 전쟁이고 에너지이다. 2022.7월 1일 베를린 콘체르트 하우스, 임준희 작곡가, KBS인터뷰 중 „그날 밤 인월댁은 종가의 지붕 위로 훌렁 떠오르는 푸른 덩어리를 보았다. 안채 쪽으로 솟아오른 그 불덩어리는 보름달만큼 크고 투명하였다. 그러나 달보다 더 투명하고 시리어 섬뜩하도록 푸른빛이 가슴을 철렁하게 했다. 청암 부인의 혼불이었다. (혼불, 3권 107쪽) “ 전라남북도에
K-Classic News 노유경 평론가 | 사진: 주독일 한국문화원 출처, 대한제국 애국가 1902, 작곡: 프란츠 에케르트 (Franz Eckert 1852-1916) 독일 베를린에는 주독일 한국문화원이 (원장: 이봉기) 있다. 한국의 전통 및 현대 문화 예술을 독일 현지에 알리며 한국과 독일 간 상호 소통과 교류의 교량 역할을 하는 곳이다. 필자는 오랫동안 한국 문화원 행사에 관심을 갖고, 참여했다. 그도 그럴 것이 독일에 사는 한국인의 입장에서 한국 문화에 관하여 목말라하는 우리 같은 이들에게 시원한 약수 같은 프로그램이 한국문화원에 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창작 음악 페스티벌 등 행정 지원 시스템 총괄을 하시는 이정일 실장은 본인이 오랫동안 계획한 음악회에 관하여 말씀하신다. 음악회는 "120년 만의 만남, 대한제국 애국가 공식 제정 120주년 기념 음악회“의 제목을 가지고 2022년 7월 1일 베를린 콘체르트 하우스와 7월 2일 할레, 헨델 할레 콘서트홀에서 개최되었다. „무슨 애국가를 말하는 거야? 우리나라 애국가? 애국가가 또 있었어?“ 이 물음은 필자가 나에게 하는 물음이었다. 나와 같은 질문과 의아심을 가지고 이번 공연을 방문한 이가 아마
K-Classic News 노유경 평론가 | 2022년 7월 13일, 스위스 주어 개혁교회에서, 콘서트 프로그램 국제적인 호반의 도시, 스위스 취리히에서 동쪽으로 약 45킬로미터 떨어진 마을 주어(Suhr)는 스위스의 아르가우 (Aargau) 칸톤 (Canton)행정 구역이다. 이 마을 언덕 중앙에 고딕 양식으로 지어진 흰색 교회가 있다. 다른 주위 건물에 비교하여 유난히 높기 때문에 마치 랜드마크처럼 보인다. 이 건물이 주어 마을을 상징하는 개혁교회이다. 교회의 첨탑에는c, e, g, a 및 c로 조정된 5 개의 종이 있다고 한다. 교회는 이름이 특별히 붙여지지 않았고 그저 개혁교회라고 (Reformierte Kirche) 부른다. 스위스 주어 개혁 교회 개혁 교회 (종종 복음주의 개혁 교회)는 중부 유럽에서 출발한 개혁 전통의 주요 기독교 교단 중 하나이며, 주로 취리히의 울리히 츠빙글리와 (Ulrich Zwingli, 1484년 1월 1일 ~ 1531년 10월 11일) 제네바의 요하네스 칼뱅의 (Jean Calvin, 1509년 7월 10일 ~ 1564년 5월 27일) 칼뱅주의의 개혁 과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스위스에서는 모든 복음주의 국가 교회가 개
K-Classic News 노유경 평론가 | 한예종 전통예술원 임준희 원장과 쾰른 음대 총장 클라우스 틸만/ 6월 30일 / Photo : 노유경 2022년 6월 30일, 한국예술종합학교 (이하 한예종, 총장: 김대진) 독일 쾰른 국립음악대학교 (이하 쾰른음대) 예술 한류와 대학 교류 파트너십이 시작되었다. 이 날 한예종 전통음악원 임준희 원장, 쾰른 대학교 노유경 박사 (Dr. Yookyung Nho-von Blumröder), 전통원 공연기획 이거희 실장은 쾰른 음대 클라우스 틸만 (Tilmann Claus) 총장실에 초대되어 두 대학의 협업에 관하여 회의했다. 쾰른 음대는 독일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음악대학으로서 1845년에 세워졌다. 177년의 역사와 전통을 지킨 쾰른 음대는 1,500명이 넘는 학생을 보유하며, 독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음대이며, 유럽 전체에서는 빈 대학 다음으로 두 번째 큰 음악대학교이다. 쾰른 음대는 쾰른, 부퍼탈, 아헨 세 도시에 캠퍼스가 있고, 2005년부터 영재를 발굴하는 영재 교육 (Pre College)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음악과 무용 학과로 구분되어 있지만 사람들이 주로 음대라고 부르는 이유는 음악 학과가 더
K-Classic News 노유경 음악평론가 접두사 „청년“은 보편화 되어있다. 청년 복지, 청년 주택, 청년 적금, 청년 수당, 청년 정책, 청년 포털 등, 각 분야에 펼쳐 있다. 그럼 „청년 예술가“ 란 명제의 „청년“ 접두사는 어떤 기능일까? „기성 예술가“의 반대어이며 기성보다 미숙하고 한편 열정이 있는 예술가를 말하는 것일까? 나도향의 작품 „환희“에는 „청년 남녀“라는 단어가 나온다. 여기에선 특정 연령대를 가리키는 말이다. 항간의 이 접두어는 연령대의 의미에 더 많이 뜻을 부여한다. 한편 예술가에 붙은 이 맥락은 어떻게 고찰할 것 인가? 고찬미 전다솜 2022년 6월 10일 금요일, 고전 듀오 하우스 콘서트 "두 대의 바이올린" 에 청년 예술가 고찬미와 전다솜은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아우르는 음악학적 성찰의 필요성을 그들의 선율로 관객에게 전달했다. 전다솜과 고찬미는 이화여대 동문이다. 독일 자르뷔켄 국립음대를 (Saarbrücken Musikhochschule) 졸업한 고찬미의 한 대의 바이올린과 인디아나 대학 전문 연주자 과정을 졸업하고 (Indiana University Jacobs School of Music) 현재 아리조나 대학에서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