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울산 태화강, 암각화, 현대중공업을 AI가 이미지화 한 그림 관련기사: 칸타타 전성시대가 오는가 관련기사: 칸타타 연보 관련기사: 문화저널 21 동영상 문화저널21 칸타타 소개 칸타타(Cantata)는 서양음악사에서 매우 중요한 음악 형식으로, 초기에는 주로 종교적 내용(교회 칸타타)을 담았지만, 점차 세속적 주제를 다룬 세속 칸타타로 확장되었다. 특히 세속 칸타타는 특정 사회적 또는 개인적 사건을 기념하거나 예술적 표현을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다. 바흐는 200여곡의 종교칸타타를 써 독일 칸타타에 정점을 이룬 작곡가다. 동시대의 텔레만은 1,700곡 이상의 칸타타를 써 다작 작곡가로 이름을 날렸다. 북스테후데, 슈츠 같은 작곡가들의 작품들을 우리 합창단들이 지금도 무대에 올리고 있다. 17~18세기에 성악과 기악이 함께 발전하며 칸타타의 완성도가 높아졌다. 물론 여기에는 세속 칸타타로 이어져 바흐의 커피 칸타타나 농민 칸타타가 유명하다. 당시 커피 문화의 확산과 사회적 현상을 풍자한 작품. 농민 칸타타는 농민 계층과 농업에 대한 경쾌한 표현한 것이다. 헨델도 "Acis and Galatea"를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알려지지 않은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없다 아티스트는 혼자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것을 만드는 것에 집중한다. 때문에 아티스트 자체가 상품이나 홍보가 되거나 마케팅을 할 수는 없다. 물론 예외는 있다. 그것이 스타다. 그렇지 않고도 만약 이것을 잘 한다면 아트 작품이 죽게 된다. 딴 쪽에 신경을 쓰는 만큼 완성도가 떨어지지 않겠는가. 때문에 그렇게 할수도 없고 해서도 안된다. 예술 영역과 행정, 경영의 시각이 하나가 될수 있는 역할 분담이 잘 되어야 비로서 완성이다. 어떠하든 얼굴이 알려 지지 않으면 대중에게 티켓이나 작품 구매가 이뤄지기 어렵다. 그래서 남의 호주머니를 열어야 하는 상품의 조건이 까다롭고 엄격하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시회나 발표회를 하는 것에 그치고 만다. 그러니까 상품 진열대에 오르지도 못한체 자기 만족에 갇히고 만다. 백화점이라 할 티켓 파크에 올랐다고 해서 그냥 팔리는 것이 아니다. 그 상품이 소비자의 눈에 익어 있어야 하고, 어떤 경험이나 체험이 있을 때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 영화나 음식점, 일반 소비 상품은 선택이 쉽지만, 클래식이란 장르 특히 창작은 일반의 선택 기준과는 전혀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