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 대전오페라단 창작오페라<이상의 날개> “어떤 고통에도 희망의 날개를 접지 않는자, 마침내 그 희망의 가장 가까이 닿을 것이다”. 이미 죽은 사람처럼, 자신을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 라고 자처 했던 김해경(시인 이상) 공연예술창작산실에서 올해의 신작으로 소개되는 대전오페라단의 창작오페라 ‘이상의 날개’를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총 4회 공연으로 국립극장 달오름 극장에서 초연을 올린다. ‘이상의 날개’는 현대의 복잡한 사회에서 인간의 열망, 갈등, 그리고 용기를 다루는 작품이다. 이 오페라는 시인 이상의 시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시인의 내면적 갈등과 꿈을 향한 열망을 다양한 예술적 표현으로 구현한다. 작품의 음악은 작곡가들의 감성을 담아 현대적이고 다층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무대 연출은 관객들에게 감성적인 여행을 제공하며, 풍부한 시각적 요소와 뛰어난 연기력을 통해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대전오페라단에서 준비하는 창작 오페라 ‘이상의 날개’에서는 이상의 시가 보여주는 시각적인 특징을 무대 장치와 무용단, 합창단 의 연출로 색다르게 표현하여 화려한 구성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평생교육이 일반화되면서 보다 전문화 과정을 밟으려는 이들이 늘고 있다. 나이나 여러 조건과 상황, 환경의 제한을 뛰어 넘어서, 한 단계 높은 클래스를 공부하는 기회의 제공이다. 서울대학교에 이같은 문호가 열려 더 많은 학습자들의 음악적 도약이 이뤄지기를 바란다. 내용 | 다양한 음악교육 현장에서 활동할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정으로 이론교육과 실습을 조화롭게 제공 대상 | 음악 관련학과 2년 이상 수학한 자 또는 음악교육 업종에 1년 이상 종사한 자 특징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전임교수, 강사 및 각 분야/주제별 전문가 초청 강의로 구성 특전 |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장 명의 이수증서 발급 *2개 학기 이상 수료 시 시험을 통해 "음악교육 전문지도자" 민간자격 발급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s://snui.snu.ac.kr) 참고하길 바라며 문의는 전화(02-880-9805)로 가능하다.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풍부한 표현과 견고한 테크닉으로 다채로운 연주를 선사하는 피아니스트 천필우의 귀국 독주회가 오는 2월 20일(화) 오후 7시 30분,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개최된다. 이번 귀국 독주회에서는 ‘러시아의 쇼팽’이라고도 불리는 스크라빈의 <피아노를 위한 전주곡 작품 11>으로 무대를 연다. 이후 빈고전파를 대표하는 작곡가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작품 57 “열정”>을 연주한다. 2부에서는 슈만의 수많은 피아노 음악 중 최고의 명작으로 손꼽히는 <교향적 연습곡 작품 13>을 선보일 예정이다. 피아니스트 천필우는 독일 뮌스터 국립음대 학사를 졸업하고 석사(Master)과정을 만장일치 최고점 및 전체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이후 독일 Merck Finck Stiftung 재단에서 장학금을 수여하며 동 대학 연주자과정(Zertifikat) 수석 졸업, 최고연주자과정(Konzertexamen)을 졸업한 후 국내외에서 왕성한 연주 활동을 이어나갔다. 그는 현재 체코 올로모우츠학교 외래교수, 인천예고에 출강하며 후학 양성에 힘을 쓰고 있으며 Trinity Trio, Melody Grove 및 Aprire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모차르트 오페라의 주인공 파파게노에서 착상한 '푸푸게노! 똥 밟았네'가 어린이 공연물로서는 드물게 공전의 히트를 하면서 지속 가능한 롱런의 작품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전의 어린이 공연들이 외국 것을 그대로 수용하거나 편집하는 수준이었지만 푸푸게노는 아이들의 눈 높이에 맞추면서 고급화한 작품이어서 학부모들의 선호도가 매우 높다. 이번 공연은 양천문화재단과 라벨라 오페라단의 공동기획으로 오는 2월 17일(토)~3월 3일(일) 까지 양천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된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에서 정숙을 유지해야 하지만 이번 공연은 다른 클래식 공연과는 다르게, 아이들이 객석에서 일어나 노래도 따라 부르고 춤도 출 수 있는 참여형 오페라다. 이같은 단 한번의 체험만으로도 아이들은 평생 극장의 공연 문화에 친숙함을 기억한다. 여기에 아이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다가가며 중독성 있는 주제가로 호응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오페라에 대한 이해가 놀이속에 포함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동시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오페라이지만 모차르트 음악을 기반으로 한 것이어서 극이 흘러가는 것에 자연스럽게 흡수되는 효과를 볼수 있다.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앉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서양음악사의 ‘바로크음악’을 아시나요?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고전이나 이후의 슈만, 브람스의 낭만음악에 비해 생소하다 할지 모른다. 그러나 젊은 세대와 엘리트 청중들의 관심이 증폭하고 있다.오래 전에 바로크 실내악단이 있었지만 바로크음악과는 거의 무관했고, 송은주 하프시코드 주자의 등장으로 새로운 활기를 띄고 있다. 그간의 이론과 악기 소개를 넘어서 바로크음악 시리즈가 본격화게 된 것은 매우 기쁜 일이다. 한국 클래식의 다양성과 풍성함뿐만 아니라 차별화된 기획이다. 한국 바로크음악을 개척한 이들의 노고와 헌신을 기억하는 것 역시 새롭게 뿌리내릴 수 있는 토양을 만든 것이기에 감사하다. 바로크는 이제 원전음악의 본령을 넘어 우리 문화와 통섭을 시도한다. 재창조되는 바로크다. 막연한 수입품이 아니라 수출 성장 동력이 될 K클래식의 뉴 노멀(New normal)이다. 출연진은 현대음악에 탁월한 해석력을 자랑하는 소프라노 김문희, 학구적이며 뛰어난 연주력의 하프시코디스트 송은주, 떠오르는 신예 작곡가 탁현욱, 최고의 비르투오조 기타리스트 박지형. 명쾌한 해설의 김주영이다. 제1부는 바로크의 다채롭고 흥미로운 작품들로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국립관현악단(예술감독 겸 단장 채치성)은 2024 <국립국악관현악단 지휘자 프로젝트>에 참여할 지휘자를 모집한다. <국립국악관현악단 지휘자 프로젝트>는 차세대 유망 지휘자를 발굴 및 육성하고 이들이 국악관현악 전문 지휘자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2년 전통에 기반한 차세대 창작자를 발굴․양성하는 ‘가치 만드는 국립극장’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지금까지 총 6명의 지휘자를 배출했다. <국립국악관현악단 지휘자 프로젝트>에 선정된 지휘자들은 3월부터 8월까지 약 6개월간 이론 수업부터 실습까지 체계적인 시스템 속에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지휘자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다. 현역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지휘자, 연주자, 작곡가와의 워크숍 및 마스터클래스, 박상후․정치용 지휘자와의 멘토링 등 단계별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국악관현악 지휘에 대한 이해를 넓혀준다. 또한 국립국악관현악단 연습 상시 참관 및 공연 관람 기회도 제공한다. 이들은 프로젝트의 결실을 선보이는 공개 시연회를 2024년 8월 달오름극장 무대에서 가질 예정이며 이어 하반기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유려한 테크닉과 원숙한 음악적 해석력을 겸비하여 감각 있는 무대를 선사하는 클라리네티스트 선우지현의 독주회가 오는 2월 7일(수) 오후 7시 30분,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 개최된다. 피아니스트 한지은과 바이올리니스트 이세영이 함께하는 이번 독주회는 요하네스 브람스의 <Fünf Lieder, Op. 105> 중 첫 번째 곡 <Wie Melodien zieht es mir>으로 무대를 연다. 이후 현대 작곡가인 폴 쇤필드의 화려한 기교와 기발한 재치가 결합된 작품인 <Trio for Clarinet, Violin and Piano>으로 1부의 막을 내린다. 이어서 2부에서는 브람스의 <Fünf Lieder, Op. 71> 중 다섯 번째 곡 <Minnelied>와 소리에 대한 음향적 법칙을 수학적으로 탐구하며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는 음악을 만드는 현대 작곡가 파스칼 뒤사팽의 <If Pour Clarinette Seule>, 막스 레거의 <Sonata No. 3 in B-flat major, Op. 107>을 선보인다. 선우지현은 예원학교, 서울
K-Classic News | 전시후원 : 라잇톨로지, KKDC 황란작가는 한강 채빛섬 애니버셔리 뮤지엄에서 1. 20~ 2.22까지 전시를 연다 이번 전시는 특별히 빛과 설치를 아우르는 처음 시도하는 전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황란은 2001년 뉴욕 9.11 테러를 가까운 곳에서 경험한 뒤 삶의 불확실성, 생명과 죽음,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생각을 작품에 반영하기 시작했다. 전 세계 사람들이 911사건의 희생자를 추모하던 때 제작되었다. 철창에 갇힌 새를 단추들로 형상화하였는데 꼬리 쪽으로 갈수록 분산되는 형태는 일시단명성의 주제를 전달한다. 기존 작품에 수많은 꽃들을 추가하여 911과 최근의 팬데믹 Covid19에 희생되어 허무하게 사라진 영혼들에게 진혼곡을 바친다. (Thalia V 크리틱 중에서 발췌) 2023)은 독수리와 봉황이 섞인 하이브리드 생명체가 힘차게 날아오르는 작품에서 선명한 색채가 삶 전반에 흐르는 낙관주의를 생생히 느낄 수 있으며 스러진 생명을 향한 애도의 마음이 담겨 있다.(청주공예비엔날레 2023 발췌) 탁계석의 노트 꽃들은 침묵했다 웃지 않았다 눈물을 머금고 있었다 새 장에 갇힌 새는 살아 있었다 그러나 날개가 떨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업무 협약( MOU ) 속도가 경쟁력인 시대에 트렌드의 변화 또한 매우 신속하고 다양합니다. 예술 장르 역시 독립적인 혼자만의 생존이 아니라 융합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소비자를 만족시켜야 합니다. 전 시대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K 콘텐츠의 등장은 글로벌 진출이란 새로운 목표와 시스템 변화, 인식의 전환을 요구합니다. 이에 미래를 이끌어 갈 펀(fun)&판 (pan) 갤러리와, 오늘의 현대 음악으로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는 케이 클래식계의 조우는 참으로 시의적절합니다. 신뢰를 바탕으로 상호 도약과 비전을 나누게 됨을 기쁘게 생각하며 이 정서를 공유합니다. 2024년 1월 7 일 펀(fun) & 판 (pan) 갤러리 대표 김은정 K클래식조직위원회 회장 탁계석 시, 음악, 무용, 미술, 영상이 긴밀한 호흡으로 더 감동적인 것을 연출해 낼수 있다. 뮤직 비디오로 탄생한 강건너 불빛이 더 아름답다(김한기 작곡, 탁계석 작시)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이 매 공연 때마다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폭발적인 호응과 더불어 두터운 관객층을 보유하고 있는 『크리스마스 액츄얼리』가 오는 12월 24일(일), 25일(월) 오후 3시, 푸르지오 아트홀에서 이틀간 개최된다. 『크리스마스 액츄얼리』는 클래식, 캐럴, 팝 음악 등 다양한 작품을 재미있게 편곡하여 보고, 듣고, 느끼는 특별한 크리스마스 콘서트이다. 해설·지휘 김진환과 작곡·음악감독 유키 모리, 그리고 Planetary Ensemble이 함께 선사하는 이번 공연에서는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종소리를 울리자>, <씽 씽 씽>, <3분 호두까기 인형>, <겨울왕국 OST>, <인어공주 OST>, <인디아나 존스 OST>, <Have Yourself A Merry Little Christmas>, <작별의 정>과 같은 여러 장르의 작품을 재미있게 편곡하여 유쾌한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풀어나갈 예정이다. 또한 2~4인 단체예매 할인, 추첨을 통한 크리스마스 선물 증정 이벤트 등 관객들에게 특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