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GS,Tak | I enjoyed Your Concert The Latin American Symphony Orchestra has completeda great project - your triumph and the vision and dreams of Latin America. Latin American America, which felt far away, feels close. The courage that the world can be united by music I gave it to you. The country of K-pop and BTS is now the country of K-classic Korea with Maestro JongWhi Vakh. I want you to work together so that I can come and go with you. You've done such a great job. Latin American Symphony Orchestra Bravo, Bravo, Bravissimo~!!
K-Classic News 기자 | 서초문화재단(대표이사 강은경)은 오는 2월부터 10월까지 매월 첫 번째주 화요일에 심산영화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심산 영화관은 서초문화재단과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헌신한 애국지사 김창숙 선생의 숭고한 위업을 기념하기 위해 설립된 심산김창숙선생기념사업회와의 공동기획으로 2018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2024년 심산 영화관은 매년 대중성과 예술성의 균형 있는 영화 상영으로 다양한 관객층에게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올해는 미국 아카데미 수상작들로 구성했으며, 호국보훈의달 특별 상영, 뮤지컬영화 상영 등 이색적인 테마로 관객들과 함께할 예정이다. 2월 6일(화)은 영화 <사랑과 영혼(1990)>을 상영한다. 죽어서도 연인의 곁을 떠나지 못하는 애틋한 순애보로 죽음을 초월한 두 남녀의 진실한 사랑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3월 5일(화)은 영화 <이터널 선샤인(2005)>을 상영한다. 헤어진 연인의 기억을 지워갈수록 더욱더 깊어지는 사랑의 이야기를 그린 로맨스 멜로 작품이다. 기억과 사랑에 대한 깊은 통찰, 아름다운 영상과 아름다운 음악으로 관객들의 가슴 속에 영원히 기억되는 작품이다. 4월
K-Classic News 기자 | 뛰어난 테크닉과 유려한 음색, 그리고 깊이 있는 음악 해석으로 주목받는 바이올리니스트 전진주와 다양한 무대에서 폭넓은 연주 활동을 하고있는 피아니스트 이윤희의 듀오 리사이틀이 오는 2월 13일 화요일 오후 7시 30분,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에서 개최된다. 전진주 & 이윤희 듀오 리사이틀은 전곡이 브람스 곡으로 구성되어있다. 브람스는 19세기 독일 낭만파 작곡가로 오페라를 제외한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작곡을 한 다작 작곡가이다. 이번 공연에서는 브람스가 아들을 잃은 클라라의 심정을 읽고 작곡한 곡으로 ‘비의 소나타’라고도 불리는 <Violin Sonata No. 1 in G major, Op. 78>와 그의 여러 실내악 작품 중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 <Violin Sonata No. 2 in A major, Op. 100>을 연주하며 1부를 마무리한다. 이후 2부에서는 고전시대 형식과 낭만시대 감성이 극적인 대비를 이루는 명곡 <Violin Sonata No. 3 in D minor, Op. 108>을 선보일 예정이다. 바이올리니스트 전진주는 현재 SCC서울중앙음악원 초빙교수와 월간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좌로 부터) 김경희 코리아 양금앙상블 대표, 박영란 작곡가, 송영탁 연기자, 탁계석 회장, 서은정 작곡가, 안은정 거문고, 허정인 플륫 대표. 전주 아기별꽂 휘게 하우스에서 1박 2일 워크숍 K 클래식 제1 창작 전진 기지가 전주로 확정되었다. K 클래식이 무엇인가? 일반인들에게 묻는다면 현재로선 거의 응답이 없을지 모른다. 아직 일반인들에겐 경험이 주어 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케이팝을 말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다. 그래서 ' K팝의 아버지 K클래식'이라는 카피로 나선다. 이를 위해 외국인을 위한 K 참여형 콘서트 프로젝트를 오는 2월부터 진행한다. K클래식측은 전주로 설정한 배경에 대해서, 이번에 전주가 특별자치도로 위상이 강화되면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제 1의 관광지다. 전통과 더불어 오늘의 현대음악의 다양한 체험을 할수 있는 최적지로 평가되었기 때문이다. K클래식 측은 지난 달 발족한 K 비전 아티스트들이 17일~ 18일, 전주 아기별꽂 휘게 하우스에서 1박 2일 워크숍을 가졌다. 참석자들은 열띤 토론을 통해 해방 이후 지난 80년 가까이 과다한 서양 문화 유입으로 전통 음악과 상당한 거리가 있어 왔다.
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Kclassic 위촉 BEST 작곡가 대한민국의 달라진 국제적 위상은 우리를 뉴 노멀(New Normal)의 방향을 제시할 위치에 서게 했습니다. 오랜 서양 문화의 수입 구조에서 벗어나 수출로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할 때입니다. 뿌리 깊은 사대주의를 극복하면서, 우수한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예술 콘텐츠를 개발하여 지구촌 시민과 호흡하면서 한국 작곡가와 작품의 서양 음악사 편입이라는 원대한 목표를 향해 달려가야 합니다. 이에 K클래식 조직위원회는 창작자의 역량을 한층 높이고 홍보를 강화하면서 글로벌 시장 진출에 힘이 되고자 합니다. 귀하를 'K클래식 위촉 Best 작곡가'로 선정하게 됨을 기쁘게 생각하며 뜻을 나누고자 합니다. 프로필 계명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 (B.M.) - 계명대학교 대학원 작곡과 졸업 (M.M.) - 독일 Leipzig국립음대 작곡과 졸업 (Konzertexamen) - 스위스 Bern국립음대 작곡과 (Diplom) - 오스트리아 Mozarteum University 작곡과 수료 (Grosses Diplom) - 동서대학교 문화예술공연학과 예술학 박사 (Ph,D) - 쪠퍼닉 란트슈필페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예술사를 선도해 온 미술을 만나야 빠르게 변신 농경시대, 산업화 시대, 정보화 시대, AI 디지털과 메타버스 시대로 세상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예술 장르 역시 변화를 급속하게 수용하면서 혼자서 발전해 왔던 예술이 통섭을 통해서 시너지 효과를 가져오는 필연적인 상황이 왔습니다. 클래식에서 어떻게 미술에 관심을 갖느냐? 궁금해 하는 분들이 있으시겠지만 예술의 장르 중에서 미술, 건축이 가장 선도적인 역할을 해온 것을 우리는 예술사를 통해 잘 압니다. 음악은 항시 그 사조를 뒤따라 온 것을 서양 음악사에서 보았습니다. 이제 비단 음악과 미술의 관계뿐만 아니라 무용, 문학 , 사진, 영상 등 장르와 세대를 아우르면서 융복합 콘텐츠를 생산해 내야 할 때입니다. 기존의 갤러리, 미술관 형태가 관객들의 유입에서 줄어드는 면도 있고, 모든 소비 패턴이 바뀌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습니다. 일상의 소비가 이미 플랫폼을 중심으로 택배 또는 홈쇼핑으로 유통을 바꿔놓았습니다. 메타버스는 전기자동차처럼 신 개척 시장을 향해 질주하고 있습니다. K클래식은 이같은 변화를 수용하면서, 미술품의 소비자들에게 쉽고, 편하게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하고
강 건너 불빛이 더 아름답다 김한기 작곡 탁계석 작시 만나지 못해도 그리움의 강을 지나는 물결은 바람에 흔들리고 있으니 갈대는 외롭지 않다 하늘과 땅도 바라만 볼 뿐 첩첩히 둘러싼 산과 산 바다를 흠모해 달리는 산맥에게서 나는 보았다 하여, 너와 나 산처럼 떨어져 있다 해도 그리움의 메아리는 가슴에서 솟구쳐 뜨거운 열정으로 타리라 창공을 나르는 새들이 터 잡지 않고 살아도 아침 햇살과 저녁 노을을 쪼으며 어느 숲에선가 잠든다 강 건너 불빛이 더 아름다운 것을 이제는 알것다 이승과 저승이 경계가 없다는 것을 이제는 알것다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11월 7일 대학로 예술가의 집, 탁계석 회장, 최우정 서울대 교수, 김시형 명지대 교수, 이지수 서울대 교수 급변하는 사회 상황에서 학교에서 배우는 교육만으론 한계가 있기에, 현실에 적응할 현장과의 정보 공유, 다양한 네트워크에 의한 노하우 축적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이 졸업 전부터 연동성을 갖도록 하자는 취지입니다. 지역이 창작 레지던스 공간 제공을 통해 향토적인 소재 개발을 하고, 댕댕이 왈츠 곡 만들기 등의 음원 사업으로 저작권을 가짐으로써 창작가가 지속 성장할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뉴노멀(new normal) 창작으로 시장 개척에 앞장서고 있는 K클래식이 대학과 협업하는 새로운 출발입니다. K클래식 광고 황순학 교수의 특강 '경영에 예술 결합해 부가가치 창출 ' 경영에 예술 접목한 황순학 교수의 특강, 큰 공감대 이끌어 내다! (kclassicnews.com)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 개인 병풍식 프로필 나열 효과가 얼마나 있을까? '여기가 좋겠네', 양평 국도를 가다 보면 1만원 한식 뷔페, 당시는 6천원에 출발한 저 가격대의 뷔페를 알리는 장소 이름이었다. 이게 변주해서 '여기 어때?' 팬션, 호텔 숙박앱으로 발전했다. 그러니까 가장 쉬우면서 기억할 수 있는 키워드 단어, 이것이 브랜드 네이밍의 힘이다. 하루에 각종 행사, 공연들이 수백, 수천 건이 일어나고 있다. 인터넷 포탈은 하루 2천건의 기사를 송출한다고 하니 가히 공장식 기사 가공의 정보 홍수시대다. 여기에 가짜 뉴스까지 흘러 다니니 소비자 혼돈도 가중된다. 때문에 콘서트나 연주가의 이름을 기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아무리 프로필을 병풍철럼 늘어 놓고 국제 콩쿠르 수상했다고 자랑한다해도 설득력을 가질지는 모르겠다. 자기 만족이나 자기 최면은 가능하겠으니 그보다는 착각에 가깝지 않을까 한다. 대신 슈퍼스타인 조수미, 조성진, 임윤찬 등은 언론에 의해 재생산되는 구조이기에 그 분야의 사람이 아니어도 많이 안다. 이름 하나가 뜨는 게 천문학적으로 힘들다는 이야기다. 그렇기 때문에 대중들에게 자기 브랜드화는 가능할까
똥개K-Classic News 탁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