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현대시 詩 100선] 묵화 - 김종삼

A Better Me
고달프고 외로운 삶과 동병상련의 심정
꿈은 더 나은 내일을 향해

 

K-Classic News 원종섭 문학평론가 |

 

 

 

묵화  墨畵

 

 

 

 

김종삼

 

 

 

 

 

 

 

 

물 먹는 소 목덜미에

 

할머니 손이 얹혀졌다

 

이 하루도

 

함께 지났다고

 

서로 발잔등이 부었다고

 

서로 적막하다고

 

 

-김종삼전집', 나남출판, 2005

 

 

 

 

 

 

 

 

 

 

 

 

한국적 정서가 물씬 풍겨납니다

 

 

 

시인은

화폭을 꽉 채워 그리지도 않고

 

 

요란스럽게 채색하지도 않았습니다

그래서 조용한 느낌도 들고

다 말하지 않은 여백도 느껴집니다

 

 

 

절제된 표현으로 여백의 미가 선명하게 살아납니다

 

 

 

구체적인 상황을 생략하고

소와 할머니만을 압축해서 표현했습니다

 

 

관찰자 시점입니다

앞 부분과 뒷 부분이 도치되기도 했구요

 

 

 

독자들은 여백 뒤에 숨은 내용을 생각하며

감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시인은

격앙된 감정으로 말을 타고 달리려 하지 않았습니다

정신의 성숙함은 서서히 굳어져 간 것이겠지요

 

 

 

소의 목덜미에 손을 얹는 할머니의 어떤 심정

 

 

 

제목  '묵화'는 먹의 짙고 엷음을 이용하여 그린 그림입니다

묵화는 절제된 그림이지요.

 

 

 

할머니와 소의 눈망울 

애잔한 느낌의 공유로만 유대감이 표현될 뿐입니다

 

 

 

마음과 마음으로 뜻을 전한다는

이심전심(以心傳이고  심심상인(心相印)이지요.

 

 

 

소가 먹는 물은 맹물이 아니고 쌀뜨물일 것입니다

하루종일 함께 고단한 노동을 한 소에게 할머니가 줄 수 있는

마음입니다

 

 

 

자유시, 서정시, 관조적, 향토적, 동양적입니다

 


 

 

할머니와 소의 고단한 삶과 유대감

 

 

발잔등이 붓고 적막함을 느낄 만큼

고단하고 힘겨운 삶

 

 

 

 

 

 

 

 

시에서 공백이란

무엇이 그 공백으로 하여 긴장을 일으키게 하고

 

비록 순간적이긴 하지만 절묘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 주는가

그리고 그것은 왜 느끼기는 쉽지만 딱히 집어 말하기는 힘든가

 

 

 

문제 제기, 공백이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이유

 잔상 효과(殘像效果)이기 때문입니다

 

 

 

 언어 습관이나 일상생활 면으로 보면

꼭 있어야 할 것을

꼭 있을 자리에서 빼 버리고

그 빈자리에

앞서 나온 시행들의 울림을 있게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굳은살이 박인 할머니 손을 역시 굳은살로 탄탄해진

소 목덜미에 얹는 것으로 대화는 충분합니다.

이 광경을 관찰하고 있는 시인도 역시 말을 줄입니다.

 

 

 

입 밖에 내는 소리 한마디 없어도

할머니와 소가 주고받는 교감을 느낄 수 있듯이

그렇게 이 광경을 전달합니다

그래서 조심스럽게 할머니와 소의 하루를 상상하고

할머니의 속내를 읽어 봅니다

 

 

 

유년 시절의 추억, 동경, 고독

 

 

 가장 진하고 결속력이 있으며 자발적이고 상호적인

그러면서도 부분이 아니라 전체가 통째 오래 지속되는 만남은

'스며들기'입니다.

 

 

 

화선지에 먹은 칠해지지 않고 스며듭니다.

그리고 스며들기'는 '번짐과 동시에 일어납니다.

그런 의미에서도 이시의 제목은 '묵화'여야 했습니다.

 

 

 

무심히 '없음'인 것 같지만 사실은 할머니의 마음이 손을 통해

소의 목덜미로 스며듭니다.

그래서 어떤 요란스러운 '껴안음이나

'잡기'가 주지 못하는 온기의 '번짐'을

이 시를 읽는 우리에게도 나누어 줍니다.

 

 

 

 

 

 

 

 

 

 

 

김종삼  金宗三 

1921~1984 본관은 안산이며 황해도 은율 출신이다. 평양의 광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34년에 중학교에 입학했으나, 중단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도요시마상업학교를 졸업, 당시 영화인과 접촉하면서 조감독 생활을 했다. 광복 후에는 유치진(柳致眞)을 사사하였고, 극예술협회 연출부에서 음악 효과를 맡아보았다. 6·25전쟁 때는 피난지인 대구에서 시를 발표하기 시작했고, 서울 환도 후에는 군사다이제스트사 기자, 국방부 정훈국 방송실의 상임연출자로 10여 년간 근무하다가 1963년부터 동아방송국 제작부에서 근무했다.

 

 

처음으로 시 「돌각담」(1951)을 발표한 뒤 시작에 전념하였고, 1957년에는 전봉건(全鳳健)·김광림(金光林) 등 3인 공동시집 『전쟁(戰爭)과 음악(音樂)과 희망(希望)과』를 발간하였다. 이 시집에 「돌각담」·「개똥이」·「G.마이나」·「음악」 등 초기 시들이 실려 있고, 이 시들은 늘상 그의 세계를 음악과 연결 짓는 시적 환상의 세계였다.

 

 

그러나 이 시인의 삶에 대한 인식태도는, 어린이는 무죄한 순결의 존재인 반면 삶의 때가 묻은 어른은 죄 많은 존재인 것이다. 이러한 죄의식은 후기 시에서 더욱 두드러지며, 시인이 겪는 삶의 참담함과 자신의 깊은 죄의식이 숨김없이 드러나고 있다.

 

 

1967년에는 문덕수(文德守)·김광림과 함께 3인 공동 시집 『본적지(本籍地)』를 출간하였고, 1969년에는 한국시인협회 후원으로 첫 개인 시집 『십이음계(十二音階)』를 발간하였다. 그 외의 시집으로 『시인학교(詩人學校)』(1977)·『북치는 소년』(1979)·『누군가 나에게 물었다』(1982) 등이 있으며, 사후에 『김종삼전집』(1989)이 간행되었다. 1971년에는 시 「민간인(民間人)」으로 현대시학상을 수상하였다.

 

"나 지은 죄가 많아 

죽어서도 영혼이 없으리"

- 시인 김종삼

 

 

 

 

 

 

 

 

 

 

 

 

 

 

"내가 운명을 몰라도 운명이 나를 찾아 올것입니다"

 

 

 

 

 

 

이 변덕스러운 세상에서 

 

당신은 세상을 아름답게 만드는

뜻밖의 능력자 입니다

 

 

 

 

원종섭   Won  Jong -Sup

시인,  영미시전공 교육학 박사, 대중예술 비평가  

K-Classic News 문화예술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