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서울숲양현재(학장 권혜진)는 2023년 3월 10일 <박현모와 함께 읽는 세종실록>을 개강한다. 이 과2005년 10월 경복궁에서 개최한 시민강좌 <세종실록으로의 여행>에서 시작되었다.지금까지 사회 각계각층 약 3,500여 명이 거쳐갔으며, 총 32년치에 달하는 세종실록 국역본 전체를 직접 읽는 정통 강독과정이다. 지도교수 박현모 원장(한국형리더십개발원)은 명실상부 세종리더십 전문가로 『세종처럼』 『세종의 적솔력』 등 세종에 대한 책을 다수 펴냈다. 그밖에도 『태종평전』『정조평전』 등 활발한 저술로 조선왕조실록에서 발굴한 리더십 교훈을 사회 각계에 알리는 일에 전념하고 있다. <박현모와 함께 읽는 세종실록>은 역사, 리더십, 인물, 인문학, 지역학, 교육, 평생학습에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수강할 수 있다. 특히 이 과정은 각 분야 리더들과 전문가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다. 기업 CEO, 국회의원, 국회기록책임자한글연구자, 다문화교육자, 글쓰기코칭 전문가, 전통음악연구자, 전통건축연구자, 방송인, 교사, 작가, 콘텐츠 개발자, 기획자, 청소년육성사업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뒷줄로 부터 박진호. 김양연. 유광재. 김복남. 오제윤. 홍진기. 윤학원, 탁계석 Photo: 이미리 작가 코러스센터에 인사차 방문한 인천 단원들과 함께 기념 촬영을~ 세계를 놀라게 하는 급성장의 한글 교육 K-컬처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세계 총 42개국의 1,800여개 학교에서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일본이 공·사립을 합해 총 550곳 이상의 학교에서 한국어 수업을 제공해 가장 많았으며, 이어 미국(171곳)과 태국(165곳)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로 지난 2019년 만해도 30개국(1635개 학교)에 불과했지만 2020년 39개국(1700개)으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40개국을 돌파하며 3년 만에 40%나 급증했다. 특히 13억 9000만여명의 인구를 보유한 인도를 비롯해 러시아 등 총 9개의 신흥국이 한국어를 현지 초·중학교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했다. 올해 역시 1월 현재 한국어를 대입시험의 외국어 선택 과목으로 도입한 나라도 일본,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베트남, 태국,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등 총 8곳에 달한다. 이 밖에도 오는 2025년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