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한국 창작 오페라 《칼레아 부탈소로》 라이브 앨범 2026 GRAMMY® Awards Best Opera Recording 분야 공식 접수… 한국 오페라 앨범 역사상 최초 그래미상 접수되어 FYC 캠페인 시작해.. 한국 클래식 제작사 아트팜엘케이(대표 김재청)는 창작 오페라《칼레아 부탈소로》(이하 《부탈소로》)의 월드 프리미어 라이브 앨범 'Jieun LEE : Kalea Butalsoro (Live)'이 2026 GRAMMY® Awards Best Opera Recording 카테고리에 공식 접수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한국과 동아시아 창작 오페라 역사상 드문 성과로, K-pop으로 이어진 K-culture의 물결이 이제 K-classic으로 확장되는 역사적 순간을 상징한다. 한국 오페라 앨범으로는 최초의 성과다. 이 작품은 기후 변화와 인류의 미래를 다룬 SF 오페라로, 2025년 6월 17일 발매된 앨범을 통해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으며, FYC(For Your Consideration) 캠페인을 통해 그래미 수상 도전을 본격화한다. 《칼레아아 부탈소로》는 작곡가 이지은(Jieun Lee)과 대본 작가 김재청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초대의 말씀 K컬쳐... 여러 장르에서 회자되는 단어입니다. 조금 신경 써 살펴보면 클래식 창작계(작곡부문)의 상황은, 잘 들리지도 않고 거의 보이지도 않은지 어언 세월이 아닐까요?! 오늘 작은 나래짓을 시작합니다. 추후 「한국작품연주회」를 연이어 가렵니다. 진정 "K컬쳐"의 면목을 - 우리 창작품을 통해 세워보려 작정하였습니다. 이번에 기꺼이 작품을 내어주신 다섯분께 진심 감사인사 드립니다. 특별히 연주회 진행을 선뜻 승낙해주신 이건용 교수님께 깊은 고마움을 드립니다. 함께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합니다! 고영일 탁계석 평론가의 시각 사람에게만 인연이 있는 것이 아니라 작품도 연주가와의 인연이 있다. 그 어떤 하나의 계기가 인연이 되어서 새로운 길에 접어드는 것이다. 정시은 바이올린 독주회, 한국 작곡가의 작품만을 연주하는 것은 매우 귀한 일이 아닐까 싶다. 백병동, 진규용, 이건용, 나인용, 이만방. 한국을 대표하는 원로 작곡가들의 작품을 바이올린 곡만 선별해서 연주하는 것이니까 이같은 독창적 컨셉이 돋보인다. 정시은 바이올리니스트는 대전을 거점으로 활약하는 젊은 연주가로 우리 작품을 하면서 더 편하고 자신감, 자긍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광복 80주년 기념음악회 공기태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 취임연주회 ● 지 휘 : 공기태 (대구시립합창단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 ● 출 연 : 소프라노_이윤경, 알토_박소진, 테너_이병삼, 바리톤_서정혁, 판소리_김수경 ● 협 연 : 부산시립합창단, 대구시립소년소녀합창단, CM오케스트라 ● 작 곡 : 임준희 ● 작 사 : 탁계석 [프로그램] 제1부 서곡 제2부 아리 아라리 아리 아라리 (Sop./합창) 여기가 무릉도원 (Bar./합창) 아우라지 사랑 (Ten./Alt./합창) 강원도 아라리 (Sop./Bar./합창) 제3부 밀양의 전설 밀양의 전설 (Sop./여성합창) 제4부 진도의 소리 진도의 소리(판소리/합창) 제5부 못다 부른 아리랑 아리랑 고개는 눈물의 고개 (Ten./남성합창) 순이의 노래 (Ten./남성합창) 별을 헤며 (러시아와 중국 동포의 아리랑) (Alt.) 사탕수수 밭 망향의 편지 (하와이와 멕시코 애니깽 아리랑) (Bar./남성합창) 제6부 Song of Arirang Song of Arirang (Let's Sing a Song of Arirang) (Sop./Alt./Ten./Bar./어린이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전통 공예 기반 브랜드 채율(대표 이정은)이 오는 9월 12일부터 25일까지 약 2주간 서울 안국과 가로수길에서 팝업 전시 행사 “숨 고르다 : 전통, 오늘을 위로하다”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KCDF)의 ‘2025 공예 유통 프로모션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이번 전시는 옻칠, 금속, 도자, 유리 등 다양한 분야의 공예작가 15인이 참여하여 전통 기법을 현대적 미감으로 재해석한 작품을 선보인다. 작가 15인은 김경민, 김수영, 김정은, 물터, 박성열, 박송희, 박주영, 서성욱, 양희정, 이수지, 이예원, 이화진, 전보경, 정광복, 현광훈으로 중견과 신진을 아우르는 실력파 작가들로 구성되었다. 채율과 15인의 작가의 exclusive 단독 개발 디자인은 9월 전시에서 최초 공개된다. 작품은 9월 12일부터 온라인과 (채율 홈페이지) 오프라인 (카페 이오이) 에서 만나볼 수 있다. 행사는 서울 안국동의 복합문화공간 ‘이오이’와 신사동 가로수길의 ‘채율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나뉘어 진행되며, 공간과 경험, 작가와 관람객을 잇는 입체적인 구조로 기획되었다. 주요 전시 공간인 북촌 ‘이오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서울 가로수길의 갤러리 채율에서는 정승호 작가의 개인전 《Flashback》을 오는 8월 29일부터 9월 29일까지 선보인다.정승호 작가는 굴 폐각과 낙엽 등 일상에서 잊히거나 소외된 재료를 직접 채집해 작업에 활용한다.30여 년간 무대 디자인을 이어온 그는 “공연이 끝나면 사라지는 무대예술이 늘 아쉬웠고, 버려지는 페인트와 자개로 나만의 작품을 만들고자 했다”라고 밝혔다.그는 이러한 재료에 새로운 감정과 언어를 불어넣어, 사라진 존재의 온기를 조용히 되살리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사람의 눈과 부엉이 등 관람자를 응시하는 형상들이 등장한다. 마주 선 두 자아는 마치 거울처럼 서로를 탐색하고, 때로는 조용히 위로를 건넨다. 나아가 관람객의 내면을 비추며 숨겨진 자아와 마주하게 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검은 원과 흰 원은 각각 인간 내면의 어두운 면과 밝은 면을 상징한다.끝없이 순환하는 이 원들은, 끊임없이 무언가를 찾고 질문하는 ‘영원한 미완’의 존재인 우리 자신으로 귀결된다. 작가는 이를 통해 관람객이 진정한 ‘나’와 마주하고, 성찰과 성장을 경험하도록 유도한다. “모든 작품에 등장하는 검은 사람의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광복 80주년을 맞아 오는 2025년 8월 30일(토) 오후 5시, 세종체임버홀에서 특별한 음악회 “대한민국 피아노 아리랑 페스타”가 열린다. 이번 무대는 1910년 국권을 잃은 비극의 시대부터 1945년 해방의 환희에 이르기까지, 격동의 현대사를 음악으로 풀어내는 장대한 서사적 무대로 기획되었다. 공연은 두 개의 장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 ‘비극의 시작점'에서는 1910년 경술국치로부터 시작된 아픔을 주제로, '아리랑 변주와 가락잔치', '러시아 민요', 그리고 '눈물의 해주아리랑' 등을 연주하며 민족의 고통을 음악으로 되새긴다. 이어지는 2부 ‘환희의 순간까지’에서는 해방의 기쁨을 담아낸 ‘아라리 아라리요’, 아리랑 왈츠, 두꺼비변주곡, 그리고 스코틀랜드 민요 ‘Auld Lang Syne(석별의 정)’을 편곡해 세계초연으로 한국 환상곡연주로서 대미를 장식한다. 탁계석 K클래식 회장은 피아노의 모국어를 찾아서 떠나는 '피아노 아리랑 페스타'는 관객들에게 지금까지 들었던 서양 레퍼토리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우리 가락의 맛, 흥과 신명, 한의 정서를 느낄 것이라며, 음악은 귀로 먹는 음식이기에 향후 우리 피아노가 국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2025년 제57회 난파전국음악콩쿠르 1,000여명 참가 대상: 피아노 대학일반부 김준희(일반) 목원대학교 음악대학 실기 수석졸업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과 피아노전공 석사과정 수료 난파음악콩쿠르 대상 음악저널콩쿠르 Grand Prix 음악춘추콩쿠르 1위 음연콩쿠르 1위 KPCS음악콩쿠르 대상 제57회 난파전국음악콩쿠르 최우수상 바이올린 Nilufar Mukhiddinova(닐루파르 무히디노바/국적-우크라이나) 한국 예술 종합 학교 예술사 졸업, 전문사 졸업, 독주자 과정 재학 중 제33회 성정 음악 콩쿠르, 최우수상& 청중상 프랑스, 파리 글라주노프 국제콩쿨 5회 - 1위 러시아, 뻬쩨르부르그 "Window to Europe" 국제콩쿨 5회 - 2위 우크라이나, 키에프 "Individualis" 국제콩쿨 8회, 10회 - 1위 이스라엘 Ra'anan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모스크바 국립 오케스트라, 우즈베키스탄 국립 오케스트라 협연 /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 독주 _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 양국 정상 만찬 기념 청와대 연주 / 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악장 트리오 <애딩>, 콰르텟 <다소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클래식 음악과 문학의 은밀한 교차점을 10년간 집요하게 탐구해온 박소현 음악 칼럼니스트가 세 번째 저서 『책 속에 스며든 클래식』(리음북스, 458쪽, 22,000원)을 출간했다. 이 책은 국내 유일의 정통 음악 평론지 ‘월간리뷰’에서 지난 2016년부터 10년간 인기리에 연재 중인 “박소현의 책 속에 스며든 클래식” 칼럼 100편 중 책으로 모아 완성한 결과물이다. 박소현은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 린츠 안톤 브루크너 음대, 그라츠 국립음대를 수학한 바이올린·비올라 연주자이자 음악 작가, 클래식 강연자다. 단 한 번도 마감 기한을 어기지 않을 정도의 성실함으로 10년 가까이 매달 문학과 음악의 접점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이어왔다. 이번 신간은 문학작품 속에 숨겨진 클래식 음악을 발굴해 해설하고, 문학과 클래식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정성스레 담아냈다.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됐다. 1장은 베스트셀러 작가와 클래식에서는 무라카미 하루키, 파트릭 쥐스킨트, 이우혁, 박민규, 김지연, 박혜원 등 대중적으로 널리 사랑받는 작가들의 작품 속 클래식 음악을 다룬다. 2장 대문호와 클래식에서는 셰익스피어, 괴테,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폴 잭슨 폴록(영어: Paul Jackson Pollock,1912년 1월 28일~1956년 8월 11일)미국의 화가로 추상표현주의의 예술가 탁현욱 Expression for Trumpet and Piano Expression for Trumpet and piano 일본 모리오카시민문화홀 盛岡市民文化ホール Trumpet: 김판주(Panju Kim) Piano: 岡本 知也(Tomoya Okamoto) Composer: 탁현욱(Hyunwook Tak) 탁현욱 작곡가 작곡가 탁현욱은 서울예고(사사: 강은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사사: 이영조),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작곡과(사사: 김성기, 유병은, 이영조)를 졸업하고 빈국립음대 작곡과에서 대위법과 작곡(사사: Dietmar Schermann), 오케스트레이션(사사: Ertuğrul Sevsay), 작곡(사사: Michael Jarrell)을 공부하고 학사,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독일 바이마르 현대음악제 작곡콩쿠르에서 2위, 청중상을 수상하였으며, 벨기에 Sorodha 국제 작곡콩쿠르에서 특별상, 청중상을, ISCM 폴란드 지부에서 주최한 Kazimierz Se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작곡가 정덕기 교수가 중심이 된 매월 가곡 콘서트다. 신작 가곡들이 눈에 띄고, 외국 곡과 함께 하는 등 유연하면서도 창의성이 돋보이는 음악회다. 가곡을 배우고 익히면서 삶의 희열을 느끼는 노래 부르기 운동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 백승희 나의 보배/ 아버지의 이름. 주문희 Kennst du Das Land. 유석남 당신과 함께 하리라. 정주영 벼룩시장. 문경섭 보리밭. 김성혜 Die Seejunfer. 장영명 O sole mio. 유연숙 Ebben? ne andro lo.ntana. 정해린 당신은. 손경순 내 마음의 정원/ 꽃비 내리는 윤중로. 김정민 Non t'amo piu / 베틀노래. 김방울 How Lovely Are Thy Dwellings / 내 맘의 강물. 정세욱 저 구름 흘러가는 곳 / Non ti scordar di me. 한규탁 Adeleide / Vaga luna che inargenti. 임홍순 님이 오시는지. 하태관 그리운 금강산/ 하태관 & 김란 Time to say goodbye. 김란 Addio del passato. 신작 가곡과 K오패라 아리아 부르기 운동 K클래식 베스트 동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