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GS,Tak Chirman |
낙동강 지류가 흐르는 밀양에서 포즈를 취한 탁계석 대본가
독도의 노래에서 시작된 출발선
탁계석 작가의 공식적인 첫 작품은 KBS 열린음악회 무대였다. 이순신 장군 탄신을 기념하며 요청받은 애국적 노래가 바로 「독도의 노래」였다. 이 작품은 운 좋게도 육해공군 정훈 교재로 채택되며 전국적으로 울려 퍼졌다. 처녀작이 곧장 공적 무대와 교육 현장에서 울림을 얻은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며, 작가의 출발을 상쾌하게 열어주었다. 이어서 「그리움도 행복이어라」, 「오래된 정원」, 「아프지 말아요」, 「목련이여」, 「가을비」와 같은 서정적 가곡들뿐 아니라, 「와인과 매너」, 「내 사랑 김치」, 「된장」, 「간장」, 「불고기」, 「막걸리」 등 한류 음식을 주제로 한 노래들을 통해 대중성과 한국적 정서를 동시에 담아냈다. 특히 음식 노래의 시도는 센세이션을 불러오며 이후 여러 작곡가들에 의해100 여곡이 넘는 레퍼토리를 남겼고, 한국 가곡사에 독창적인 장르를 열어젖혔다.
칸타타와 오페라, 제2기의 비약
작품 세계 제2기는 본격적인 오페라와 칸타타 창작으로 확장되었다. 오페라 「소나기」, 「메밀꽃 필 무렵」, 「도깨비 동물원」, 「미스 김」, 「바다에 핀 동백」, 「달나라에 간 공룡」 등이 무대에 올랐고, 칸타타 「한강」, 「송 오브 아리랑」, 「조국의 혼」, 「달의 춤」, 「동방의 빛」, 「코리아 판타지」, 「훈민정음」, 「여민락」은 한국 칸타타의 지평을 새롭게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베르디와 푸치니가 오페라로 이탈리아 민족정신을 고양하고, 유럽 무대에서 보편적 울림을 창출한 것과도 유사하다. 탁계석의 작품은 한국적 서사와 정서를 담아내면서도 세계 오페라와 칸타타 전통 속에 편입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가고 있다.
사회적 시선을 담은 제3기, 원숙기의 문턱
오페라 6편, 칸타타 9편을 완성한 그는 이제 다시 가곡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회귀가 아니라 새로운 도약이다. 「등 뒤의 바람」, 「암을 이기리」 같은 작품은 개인의 고통과 사회적 아픔을 예술로 승화시켜 따뜻한 위로를 건네고 있다. 이 노래들은 단순히 서정적 감정을 노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적 메시지와 인간적 연대를 드러내며 가사의 원숙함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달항아리를 설정하고, 이를 음악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가야금과 정가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이어가고 있다. 달항아리는 단순한 오브제가 아니라, 한국의 미학과 정신을 상징하는 매개체로, 글로벌 시장을 향한 한국 예술의 대표 심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K-Classic과 세계 음악사 속의 자리매김
탁계석 작가는 “K-Classic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작품으로 답하려 한다.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세계적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콘텐츠야말로 진정한 경쟁력이라는 믿음이다. 그의 지향점은 단지 국내 성과에 머무르지 않고, 세계 음악사의 흐름 속에서 한국 오페라와 칸타타, 그리고 가곡이 하나의 축으로 자리 잡는 것이다. 베르디와 푸치니가 민족 오페라를 세계적 어법으로 끌어올렸듯, K-Classic 역시 세계 무대에서 “한국의 목소리”로 인정받기를 목표한다. 이는 단지 음악적 성취를 넘어, 한국적 미학을 세계 예술시장의 브랜드로 확립하고, 한국 예술가들의 창작이 국제 무대에서 당당히 호명되는 기반을 마련하는 작업이다.
Tak Gye-seok’s Librettist Journey Entering the Third Creative Phase
From “Song of Dokdo” to the Starting Line
Tak Gye-seok’s official debut as a writer began on the stage of KBS Open Concert. To commemorate the anniversary of Admiral Yi Sun-sin’s birth, he was commissioned to compose a patriotic song, which became Song of Dokdo. By good fortune, the piece was adopted as instructional material by the Army, Navy, and Air Force, and soon resounded across the nation. It was highly unusual for a debut work to reach such public and educational platforms, and it opened his career on an invigorating note.
He continued with lyrical songs such as Longing Is Happiness, The Old Garden, Don’t Be Ill, Magnolia, and Autumn Rain, while also venturing into popular themes with works like Wine and Manners, My Beloved Kimchi, Soybean Paste, Soy Sauce, Bulgogi, and Makgeolli. These “food songs” resonated widely, sparking a sensation that led to over a hundred pieces, effectively opening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song.
Cantatas and Operas: The Leap of the Second Phase
His second creative phase marked a bold expansion into opera and cantata. Works such as the operas Shower, When Buckwheat Flowers Bloom, Goblin Zoo, Miss Kim, Camellia on the Sea, and The Dinosaur Who Went to the Moon reached the stage. At the same time, his cantatas—including The Han River, Song of Arirang, The Soul of the Nation, Dance of the Moon, Light of the East, Korea Fantasy, Hunminjeongeum, and Yeominrak—were hailed as pioneering new horizons for Korean choral-orchestral music.
This trajectory recalls how Verdi and Puccini elevated Italian opera, embodying the national spirit while creating works of universal resonance. Similarly, Tak’s libretti weave Korean narratives and sentiments while laying the foundation for integration into the global tradition of opera and cantata.
A Third Phase with a Social Gaze: At the Threshold of Maturity
Having completed six operas and Nine cantatas, Tak has now returned to the realm of song. Yet this is not a retreat but a new leap forward. Pieces such as The Wind at My Back and I Will Defeat Cancer transform individual suffering and collective pain into art that offers comfort and solidarity. These works go beyond lyricism to convey social messages and human empathy, reflecting the maturity of his poetic craft.
Recently, Tak has chosen the Moon Jar as a central symbol of Korea, seeking to embody its aesthetics through experimental integration of the gayageum and jeongga (Korean court song). For him, the Moon Jar is not merely an object, but a vessel of Korean spirit and beauty—positioned as a cultural emblem to reach the global stage.
K-Classic and Its Place in World Music History
When asked, “What is K-Classic?”, Tak insists the only true answer lies in the works themselves. He believes that the most competitive creations are those that are at once deeply Korean and yet universally resonant. His vision is not confined to domestic recognition but aspires for Korean opera, cantata, and song to stand as a distinct pillar in world music history.
Just as Verdi and Puccini transformed national opera into a global language, K-Classic aims to be recognized worldwide as “the voice of Korea.” This pursuit extends beyond musical achievement to establishing Korean aesthetics as a brand in the international arts market, ensuring that the works of Korean artists are called upon with dignity and pride on the global stage.
광주, 부산, 대구시립합창단의 합동 공연. 임준희 작곡 탁계석 대본 '송 오브 아리랑' (9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