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한국합창의 거장 이병직 지휘자
합창 패러다임의 전환 ― ‘획기적’에서 ‘혁신적’으로
대한민국 합창은 오랫동안 교회음악을 중심으로 성장해왔다. ‘획기적 합창’은 지휘자 양성과 창작곡 보급, 작곡가와의 교류를 이끌며 하나의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 민간 합창의 기반은 크게 약화되었고, 새로운 리더십과 시스템 없이는 합창의 미래가 불투명하다. 이제는 교회 합창의 성과를 토대로, 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혁신적 합창’으로 대칭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상징하는 새 브랜드로 '역사영웅들의 대행진'을 태동시키려 한다.
범국민 합창운동과 시스템 구축
때문에 혁신적 합창은 단순히 무대를 채우는 활동을 넘어 ‘범국민 합창운동’으로 확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합창단 창단, 행정 노하우, 정책 지원, 네트워크와 예산 확보 같은 실질적 기반이 절실하다. 과거 나영수, 윤학원, 유병무 등 개척자들이 이룬 성과를 잇는 주체는 이제 오늘의 원로 합창인들과 현 세대 전문가들인 젊은 지휘자들이 주역들으로 나서야 할 때다. 합창이 국민적 체험으로 확산되어 새로운 동력을 키워 내야 하는 것이다.
청소년 정서 회복과 생활음악 교육
오늘의 청소년들은 외형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정서적으론 메마른 시대를 살고 있다. 합창은 동료애와 공동체성을 회복하게 하고, 일생을 지탱할 예술적 토양을 제공한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국,영,수 중심의 교과를 넘어, 합창을 비롯해 생활음악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이는 개인의 성공을 넘어 모두가 행복해지는 사회적 가치의 실현이다.
K-콘텐츠 시대, 한국 합창의 정체성 구축
여기에 K-클래식과 K-콘텐츠의 확산은 한국 합창에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국악적 요소를 이해하지 못하는 지휘자와 작곡가 사이의 단절을 넘어, 국악과 서양악의 융합 프로그램, 아카데미 개설, 협업 플랫폼이 필요하다. 아리랑코러스 이병직 지휘자가 지적했듯이 창작곡의 품질과 유통 문제를 협력 체계로 풀어가야 한다. 한국 합창만의 색깔을 분명히 하는 정체성 확립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글로벌 합창 네트워크와 새로운 도약
전 국립합창단 윤의중 지휘자는 민간과의 협력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곧 국내 합창 자원의 글로벌 확산을 의미한다. 국제 합창 교류, 한국 작곡가의 세계 진출, 창작 레퍼토리 보급이 그 핵심이다. 탁계석 회장은 시·군·구 단위 합창단 창단, 지휘자 대우 개선, 일자리 창출, 모바일 플랫폼 구축을 통해 합창 생태계를 확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 세대로부터 이어받은 합창 유산을 토대로, 한국 합창은 세계 합창 중심 국가로 도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