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시, “제 95회 춘향제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전국‧ 세계인들의 눈도장‘꽉’역대급 흥행 예상”

  • 등록 2025.05.08 13:30:09
크게보기

매년 주제 설정, 남원 춘향제의 정체성 더욱 확고히

 

K-Classic News 기자 | 지난 6일 시민과 관광객들의 열띤 호응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된 올해 춘향제가 남원춘향제의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하면서, 단순한 볼거리 중심을 넘어, 공간 구성과 현장 운영 면 등에서 큰 호평을 받고 있어 역대급 흥행이 예상된다.

 

실제로, 남원 춘향제는 지난해부터 100주년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분기점을 맞아 다양한 국가, 다양한 세대가 참여하는 글로벌 축제를 표방하며 매년 주제를 설정, 축제를 추진해왔다.

 

이에 지난 93회에는 ‘빛’ 94회에는 ‘컬러’ 95회는 ‘소리’ 등을 주제로 매년 축제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고 한편 올해는 소리의 고장이자 국악의 성지로 손꼽히는 남원의 특색을 살려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소리와 기술이 융합된 △한국의 소리△ 세계의 소리△ 융합의 소리를 메인 테마로 100여 가지의 다양한 공연을 구성, 7일간의 소리여정으로 꾸며졌다.

 

이에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다채로운 공연 콘텐츠를 선보이는 등 남원의 문화적 정체성을 재조명하고 글로벌 문화도시로의 도약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이번 춘향제는 시민 주도 축제 기획·운영으로 주목을 받았다.

시민 300여명이 참여한 '남원시민 합창단'이 개막식에서 웅장한 합창으로 축제의 문을 열었고 폐막식에서도 다시 한번 감동적 무대를 통해 대미를 장식했다.

 

또 시민과 관광객이 춘향전을 새롭게 각색, 참여한 5,000여명이 4일간 펼친 발광난장- 대동길놀이는 그야말로 역대급 흥행을 넘어 남원 춘향제만의 대표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해 연일 화제성을 낳았다.

 

공간 운영 면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올해 축제장은 광한루원과 시내 전역을 아우르는 넓은 범위에 걸쳐 조성된 바 관람 동선을 고려한 짜임새 있는 배치로 방문객의 이동과 체험이 한층 수월해졌다는 평가다. 특히 수유실, 쉼터, 그늘막 등 편의시설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가족 단위 방문객의 만족도가 높았다는 반응이 많았다.

 

광한루원은 별도의 임시 구조물 없이 원형 그대로를 활용해 자연의 품 안에서 전통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했고, 요천변 춘향‧이도령 꽃동상 주변은 이번 춘향제의 랜드마크로서, 독창적인 포토존이자 여백의 미를 살린 명소로 부각됐다.

 

올해 축제에서는 먹거리 콘텐츠도 체계적으로 정비됐다.

4개 권역에 분산 배치된 푸드존은 관람객의 대기 시간을 크게 줄였고, 더본코리아와 협업한 F&B존은 무료 바비큐 제공 이벤트와 함께 약 6억 5천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지역 축제의 가능성을 실질적인 수치로 입증했다.

 

특히 남원의 숨은 명소였던 ‘피오리움’은 축제 기간 중 ‘남원에서 꼭 들러야 할 장소’로 빠르게 입소문을 타며 새로운 랜드마크로 주목받았다.

이밖에도 지역 농특산품도 이번 춘향제를 통해 활기를 띠었다. 백향과를 중심으로 구성된 ‘원푸드’ 체험과 직거래 장터는 관광객들의 높은 구매와 참여를 이끌었고, 지역 농가와 상인의 만족도 역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인상적이었던 점은 축제 전반에 걸친 청결한 환경 유지였다. 행사 기간 내내 청소 인력이 상시 배치되어 정돈된 공간을 유지했고, 무대 뒤편이나 쉼터 같은 사각지대까지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 “도심형 축제의 모범사례”라는 반응도 나왔다.

 

춘향제 밤 풍경도 호평이 이어졌다. 광한루 일대에는 4만여 개의 청사초롱이 은은히 밝혀진 것은 물론, 날마다 이어진 불꽃놀이가 남원의 밤하늘을 수놓으며 잊지 못할 장면을 남겼다는 후문이다. 이에 관광객들은 SNS를 통해 “죽기 전에 이런 축제를 볼 수 있어 행복하다”, “살아생전에 꼭 한 번 봐야 할 축제”라는 감동 어린 후기가 이어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제95회 춘향제를 계기로, 축제장의 구성과 운영이 시민과 관광객 중심으로 변화했음을 확인했다”며, “향후 제96회 춘향제 준비 과정에서는 올해의 성과와 미비점을 면밀히 분석하여 보다 완성도 높은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자
Copyright @K-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매헌로14길 21 등록번호 : | 등록일 : | 발행인 : 탁계석 | 편집장 : 김은정 | 이메일 : musictak@daum.net Copyright @K-New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