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교향곡 신세계 다시 써야한다 '메타버스 신세계'로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Antonín Leopold Dvořák, 1841년 9월 8일 ~ 1904년 5월 1일)

 

 

          베를린 필, 카라얀  드보르작 신세계 교향곡 

 

시골 뜨기 순박한 작곡가 드보르작이 체코를 떠나 뉴욕에 도착했다. 농민들의 춤과 민요가 지천에 풀처럼 깔린 고향 땅을 떠나 배를 타고 뉴욕음악원장직을 맡아 이곳에 왔을 때 그의 신세계 아메리카는 그야말로 경이의 땅이지 않았을까. 

 

얼마나 놀랐으면 그의 신세계 교향곡 1악장 맨 처음 부분에 호른의 긴 음이 뿌웅~하고 나오는데 이건 큰 기선의 뱃고동 소리다.  그리고 그는 광활한 아메리카 땅을 달리는 말과 인디언의 모습을 광활하게 그려냈다.  새로운 세계의 동경과 놀라움이 힘찬 뱃고동소리를 시작으로 멋지게 펼쳐지면서 그 오케스트라의 웅장함에 전 세계 사람들은 아메리카를  동경했다.  쉽게 갈수 없는 드림의 대륙을 가고 싶은 욕망에 '신세계 교향곡'은  전 세계의 공연장에 신나게 울려 펴졌다. 

 

2악장 고잉홈(going Home)은 또 얼마나 눈물을 자아내는 노스탤지어인가. 노래로 만들어져 우리 학창 시절에 어께 동무하며 불렀던 노래가 아니던가. 드보르작은 그만큼 심성이 황토 흙처럼 순박한 질감을 가진 감성이기도 하고, 특히 기차를 좋아해 매일 정거장에 나가 보았으며 기관사와 기관차의 번호를  다 외울 정도였다고 한다. 

 

이제 새로운 신세계가 왔다.  메타스버스 세상이다. 인류가  땅 때문에 수많은 전쟁과 지금도 멈추지 않는 포성과 핵폭탄 위협에 살고 있다. 우리가 새로운 세상에 유토피아를 꿈꾸며 또 한편으론 우주로 날아가 사는 꿈의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 

 

때문에 더 이상 아메리카는 신세계가 아니라 구세계다. 바야흐로  문명의 순환이 코리아에 닿았다. 다름아닌 신한류요 이를 구현할 메타버스의 만남이다. 지금 한류 K컬처의 혁신적인 흐름은 그 옛날  드보르작이 놀랐을 때 만큼 보다 훨씬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꿈의 빌도드 차트를 우리 식당 가게 메뉴판쯤으로 만들어 도배를 해버린 BTS의 위력을 이전 세대들은 상상도 못하지 않았던가.  오징어 게임 6개 부문도 그렇다. 더이상 무엇이 어께를 움추리게 하는가. 무엇이 집안에서 갇혀 꽁뽂듯 싸우기만 하는가.  

 

메타버스 신세계 교향곡을 만드는 것이 오늘의 창작자가 할 일 

 

시야를 열어주는 게 문화다. 안목을 올리는 게 클래식이다. 신한류 K컬처, K클래식 파워를 통해 국민의 정체성을 찾아주어야 한다. 창조와 혁신의 화두를 일상화하는데 기업이 앞장서야 한다. 

그리해서 새로운 기운에 상승하는 새로운 세상을 열어가는 에너지를 보고 소통하게 해야한다. 수준을 높이면 상품의 경쟁력도 높아진다. 한류기업들이 K클래식과 가까워져야 하는 이유다. 

 

이쯤에서 우리 작곡가들도 고대생들이 연고전 응원때나 막걸리 마시면서 떼창을 했던 신세계 4악장의 경쾌한 리듬을 벗어난지도 오랜 세월이니, 내일을 사는 '메타버스 신세계 교향곡'  하나쯤 만들어야 하지 않겠는가! 

 

누구라도 하지 않으면 내가 해야겠고, 언제할까 고민한다면 지금해야 하고,  이게 답인 것 같다.   2022 한국문화축제 영상에서 메타버스 영감의 에너지를 본다.  눈 뜨는 아침, 가슴이 벅차 오르는 날을 날마다 살아야 한다.